초록 열기/닫기 버튼

Marx의 자본론에 입각하여 자본주의사회의 노동과 노동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를 분석한 것이 Braverman의 노동과 독점자본(1974)이다. 자본주의사회에서 생산관계는 자본가(또는 경영자)와 노동자의 두 집단으로 구분되는 바, 자본가(또는 경영자)는 노동에 대한 통제를 하기 위해 노동과정을 세분화하고, 과학적 관리에 의해 숙련노동자가 가지고 있던 작업에 대한 구상과 실행의 기능을 분리시켜 경영자는 구상의 기능을 가지고 노동자는 실행의 기능만을 가지게 된다. 표준화, 기계화, 자동화에 의해서 노동은 점차적으로 탈숙련화(deskilled)되고 저임금화되어 노동은 점차적으로 쇠퇴(degraded)하게 된다는 것이다. 사무원들도 통제를 위한 전산화와 사무자동화로 인하여 같은 과정을 겪게 되어 사무노동자로 되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생산방식에 따른 노동과정이론(유연화담론)과 후기구조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아, 노동자의 저항, 동의 등 주체성을 중심으로 한 노동과정이론(주관성담론)을 전개하고 있는 바, 회계정보가 노동과정에서 노동을 통제하고 경제적 잉여를 착취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해서 우리 나라의 회계학계에 노동과정이론을 소개하고 이의 적용을 촉진하고자 한다.


Braverman's Labour and Monopoly(1974) analysed how the labour and labour process of capitalistic society had been changed based on Marx's Capitalism. The production relationship in Capitalistic Society is divided into capitalist group and labour group. The capitalist subdivides the labour process to control the labour and separates the conception and execution of the job which the skilled worker had by the scientific management. The Manager has the function of conception and the worker has the function of execution. By the standardization, mechanicalization and automation, the worker has gradually deskilled, low-payed and degraded. Accounting information has used as a means to control the work in the labor process and exploit the economic surplus. Labour process studies must recognize the socially constructed nature of both techn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and keep in the forefront the possibility for emancipatory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