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Dyreng et al.(2008)에서 제시한 장기현금유효세율의 측정치를 이용하고 이를 Hanlon and Heitzman(2010)에서 제시된 현금흐름을 이용한 장기현금유효세율까지 확장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코스닥 상장기업의 장기조세부담을 측정하고 단기적인 기업의 성향이 장기조세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표본기업은 결산일이 12월 31일인 비금융업에 속하는 79개 기업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조세회피를 예측하는 측정치로 다양한 유효세율 측정치를 분석한 결과, 기업들이 대체로 단기 뿐만 아니라 장기에 걸쳐 조세를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장기적인 조세회피에 대한 예측치인 다양한 유효세율의 측정치가 기업의 장기조세회피를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1년, 5년, 10년 모두 장기현금유효세율과 유효세율이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금유효세율은 장기조세회피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기조세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한 결과, 유가증권 상장기업은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이 낮은 기업에 비해 조세회피의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으나, 본 연구의 결과 배당성향은 조세회피에 일부 음(-)의 영향력을 나타내고 있어, 배당성향이 높은 기업이 조세회피의 정도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이 조세회피 정도가 높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 역시 마찬가지로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이 조세회피 정도가 낮으며,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이 조세회피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조세혜택은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조세혜택이 높은 기업일수록 조세회피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tended to and tested even long-term cash effective taxes presented by Dyreng et al.(2008) and long-term cash effective taxes using cash flow presented by Hanlon and Heitzman(2010). The sample firms of this study were 79 firms which did the end-of-December closing accounts except financial industry among the firms having been listed in KOSDAQ for a total of 10 years from 2003 to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asurements of diverse effective tax rates as the measurements to predict corporate tax avoidance, firms avoided their taxes not only over the short term but also over the long term.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o what extent the measurements of diverse effective tax rates, as the measurements to predict long-term corporate tax avoidance, explain long-term corporate tax avoidance, long-term cash effective tax rates and effective tax rates showed high explanatory powers, whereas cash effective tax rat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variable to explain long-term tax avoidanc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tax avoidance, dividend payout ratios had some negative(-) effects on tax avoidance, so that firms with high dividend payout ratios showed the low level of tax avoidance. Firms with high debt ratios showed low tax avoidance levels, whereas firms with low debt ratios showed high tax avoidance levels. Firms with high tax subsidy showed low tax avoidance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