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당기에 사채를 발행하는 기업이 전년도에 실물이익조정을 하였는가를 검증하였다. 실물이익조정 추정치는 Roychowdhury(2006), Cohen et al.(2008) 등과 같이 비정상영업현금흐름, 비정상재량적비용, 비정상제조원가로 하였으나 추정치 산출과정에서는 산업별, 연도별 의존성(dependancy)를 고려하여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상장 제조업 법인으로 1999년부터 2010년까지의 기간 중 사채를 발행한 기업을 포함한 분석에서 전년도의 비정상영업현금흐름과 비정상재량적비용은 당해연도의 사채발행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비정상제조원가는 당해연도의 사채발행과 음(-)의 인과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어도 사채발행기업은 직전년도에 실물이익조정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aton et al.(2011)과 일치하는 것이다. 일부 선행연구들은 실물이익조정 대리변수 세 개의 부호를 조정한 후 합계하여 통합 대리변수로 사용하였다. 경영자가 목표이익 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이익조정의 증가 감소 방법들을 일관되게 한 방향으로 집행할 것이라고 보고 비정상영업현금흐름, 비정상재량적비용, 비정상제조원가의 이익조정 방향이 동일한 표본만을 추출하여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해 보았다. 그러나 그 결과도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 결과와 다르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manipulate earnings before issuing bon next year. Real earnings management proxies are abnormal operating cash flow(ACFO), abnormal discretionary expense(ADE), abnormal manufacturing cost(AMC) based on Roychowdhury(2006), however, this study constructs fixed effect model instead of random effect model. Listed firm sample of the year 1999 to 2010 contains bond issuing firms shows that ACFO and ADE of prior years are not associated with bond issuance. However, AMC of prior year appear to affect to the issuance of bond negatively. This negative causal relationship from earnings management to bond issue supposes that, as a minimum, firms are not manipulate earnings before the bond issue. This result consists with Caton et. al.(2011). Some previous researches used a real earnings management proxy combined with ACFO, ADE, and AMC. If managers intend to increase or decrease earnings, they would attempt to make move ACFO, ADE, and AMC to a same direction. This study makes a sub-sample of the same direction ACFO, ADE, and AMC. However, the result of the sub_sample is not different with that of the main sam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