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1세기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능력 중의 하나가 스마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스마트교육환경을 구축하여 스마트미디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수업체제나 다양한 학습방식을 제공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적응력과 수용력의 민감도가 높은 시기이기 때문에 올바른 스마트미디어의 활용 능력을 갖추게 하는 일은 중요한 일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초등학생에게 스마트미디어를 보다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이 요구되며, 이러한 능력이 초등학생의 학습효과성을 예측하는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전체 모집단으로 하여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을 도출하고,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어떠한 요인이 교과태도(국어, 수학, 과학)와 학성성취도를 예측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생 1,188명(5학년 584명, 6학년 604명; 남 620, 여 5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은 스마트미디어 조작 및 앱 활용능력,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긍정적 신념, 그리고 스마트미디어 활용 학습능력 등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수준에 따라 교과태도(수학 제외)와 학업성취도에 있어 중위, 하위 수준 학생보다 높았다. 또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요인에 있어 스마트미디어 활용 학습능력은 교과태도와 학업성취도는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마트미디어의 긍정적 신념은 부적관계에 있고, 특히 스마트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학생보다는 중간 또는 낮은 학생들에게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스마트미디어 활용능력, 교과태도, 학업성취도 신장을 위한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of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through identifying the factors of smart media literacy(SM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with a level of SML and learning effectiveness(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To address this goal, 1,188 primary school students(5 grade 584, 6 grade 604)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is male 620(52.2%) and female 568(47.8%). Mean age of Participants is 13.49(SD=.52). Three types of survey are administered regarding SMLQ as 18 items, students' subject attitude(language, mathematic, and science),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in terms of normality, reliabilit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18.0. As a result, three factors are identifie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and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mart media literacy, subject attitude (except mathematic attitude), and achievement. Students, high level of SML, are more higher than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Learning ability with using smart media in SML is a posi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On the contrary to this,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in SML is a negative relationship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Especially, students who are middle and low level of SML are more positive relationship on learning effectiveness by learning ability with suing smart media and operat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SMLQ),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ML are discussed and proposed further research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