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현장학습은 탐색적이고 맥락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잠재성을 보여주지만, 학습자들이 어떻게 학습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모바일학습에서 학생들은 교실기반 학습과는 다른 위치기반의 활동과 위치기반의 이해를 한다. 이러한 모바일학습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담화와 비담화활동을 포함하며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분산인지의 틀은 모바일학습 과정을 이해하기에 유용한데, 분산인지에서 학습이란 학생과 인공물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주체들 간의 분산된 인지의 공유와 조정의 과정으로 본다. 이 연구는 분산인지 관점에서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1) 인지적 체제로서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된 인지 간의 공유는 어떠한 양상을 보여주는가 2)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된 인지의 공유를 통해 학습의 증거로서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지식의 표상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6개의 모둠으로 구성된 12명의 학생과 교사이며, 각 모둠별 녹화된 비디오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주체간 표상의 공유는 학생-학생-패드(SS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의 증거로서 지식의 표상 내용은 ‘위치의 기술적 이해’와 ‘위치기반 개념의 협력적 이해’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분산인지기반, 학습자 중심 테크놀로지 학습에서 담화와 비담화 분석을 포함한 학습과정 연구 사례가 될 것이며, 관련 학습환경 설계에도 시사점을 줄 것이다.


While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presents the potentials for inquiry and contextual learning,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learners learn in this situation. Mobile learning includes location-based activities and understandings, different from desktop-applied learning, and its learning process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both discourse and non-discourse activities. The framework of distributed cognition is useful to analyze mobile learning in that according to distributed cognition, learning is the process of sharing and coordinating representations of participating agents in a cognitive system as a unit of analysis. This analysis enables to understand how mobile devices as artifacts contribute to learning. The current study as a cas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es of the collaborative field-base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Research questions include:1) what aspects are observed when distributed cognition is shared during the collaborative field-base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as a cognitive system? 2) what are knowledge representations of learners as learning evidence through cognition sharing in the collaborative field trip with mobile device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include twelve 4th graders and a teacher, consisting of 6 groups. A description for recorded videos is a primary data source. In result, sharing representations among student-student-artifact (SSA) indicates highest. The knowledge representations as the evidence of learning include ‘technical understanding of location’ and ‘collaborative understanding of location-based 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 case of the discourse and non-discourse analysis for learning processes in the distributed cognition, learner-centered, technology learning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 of relevant learning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