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생들의 SNS 사용이 무형식학습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고, 그 요인들 간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형식 학습의 학습성과 영향 요인에서 사회적 수용, SNS 참여를 내생변인으로 설정하였고, 지각된 SNS 태도, 주관적지식을 외생변인으로 하여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73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LISREL에 상관관계 매트릭스를 삽입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방정식 모델 적합도 검증 결과, RMR(.049), GFI(.928), AGFI(.887), NFI(.941), CFI(.950), IFI(.950) 등 총 9개의 적합도 지수 중 6개의 지수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요인 간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수용(.440), SNS 참여(.154), 지각된 SNS 태도(.118), 주관적지식(.218)의 모든 변인들이 무형식 학습의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사용과 참여가 일상생활화 된 대학생들에게 SNS내의 타인과의 교류, 정보와 미디어의 생성과 제작, 공유, 확산 등의 활동은 보편화되었다. 그들의 문화와 가치, 신뢰, 생각과 관점의 수용은 SNS를 통해 더 강화되고 활발해지고 있다. SNS가 새로운 학습의 장으로써 무형식 학습의 체제로써 학습성과가 인식되고 나타나고 있음은 평생교육과 HRD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며, SNS가 교수-학습이 적용 가능한 환경을 제공하는 한다는 의미있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formal learning outcomes with the selected variables related to their SNS use. A general structural model that included social acceptance and SNS participation as endogenous variables and perceived attitude and subjective knowledge as exogenous variables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sample was 73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GyeoungGi-Do Province. The model was accepted according to the some goodness of fit statistics such as RMR(.049), GFI(.928), AGFI(.887), NFI(.941), CFI(.950) and IFI(.951). It was identified that all exogenous and endogenous variables had th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University students’ SNS use and participation are so popular that communication, creation, sharing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and media within SNS are accelerated. It could be implied that SNS provides new instructional environment for lifelong education and HRD which increases students’ learning outcomes especially as an informal learn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