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양육경험의 본질을 한국사회 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차년도 질적복지패널 45가구 중 8가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적인 엄마 역할 갈망>, <자녀의 ‘일반적인’ 미래를 위한 전폭적인 투자>, <전형적인 사회통념에 기반한 가정교육 지향>, <가정폭력피해의 잔재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기 욕구 통제>, <복합적인 역할을 상호 수행하는 관계 강화>로 총 5개의 가정폭력피해여성의 자녀양육경험을 나타내는 특징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관계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및 정책 개발에 있어 중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essential parenting experiences in battered women from a socio-cultural aspect. The researcher used a qualitative case research design, The substantial data used in this article are based on the qualitative panel data th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conducted depth interview. In this interview, it analyzed to selected 8 of 45 households. The results shows the five outstanding thema on parenting experiences in battered women; ‘desire about traditional mother’s role’, ‘investment for general future of their children’, ‘aiming home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socially accepted ideas’, ‘control needs for minimizing leftover of domestic violence’, ‘strengthening relationship performing mutual complex roles’. According to these findings, this article provides the significant grounded materials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 development of policy in order to support their re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