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잠재성장모형(LGM)을 활용하여 아동의 초4부터 중2까지의 외현적 공격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의 발달모형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보호요인인 1차년도 부모애착, 친구애착, 교사애착, 자존감, 자아통제감과 자녀양육태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초 4패널의 1-5차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했고 연구대상은 총 2,844명이었다. 분석결과, 첫째, 외현적 공격성은 증가하다 중1에 정체하는 모형으로 나타났고, 내면적 문제행동은 큰 변동이 없다가 6학년부터 계속 증가하는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발달모형에서는 공격성과 내면적 문제행동의 초기치와 변화율이 모두 유의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현적 공격성의 초기치에는 자아통제감, 자아존중감과 자녀양육태도와 부모애착이 유의미한 관계였고, 변화율에는 자아통제감, 자아존중감, 자녀양육태도의 순으로 유의미했다. 내면적인 문제의 초기치에는 자아존중감, 자아통제감, 친구애착과 자녀양육태도의 순으로 유의미했고 변화율에는 자아존중감, 친구애착, 자녀양육태도와 자아통제감의 순으로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공격성과 내면문제의 보호요인을 검증함으로 아동의 문제예방과 아동복지임상 개입전략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o investigate the trajectories of aggress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from 4th grade to 8th grade as well as the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friend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self-esteem, self-control, and child rearing attitudes. Data was employed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a longitudinal study following 2,844 students since 4th grade. Results found that first, the aggression trajectory was an increasing and resting model while the internalizing problem trajectory was a late increasing model. Second, individual differences of aggression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itial levels and changes were significant. Third, self-control, self-esteem, child rearing attitudes and parent attachment influenced initial levels of aggression while self-control,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s influenced changes in aggression. Finally, self-esteem, self-control, friend attachment, and child rearing attitudes influenced initial levels of internalizing problems while self-esteem, friend attachment, child rearing attitudes, and self-control influenced changes of internalizing problem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