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방과후 방치와 아동의 공격성, 위축, 우울과의 관계에서 독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의 초등학교 1학년 2차년도(2011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1학년 2,342명 중 방과후 방치되는 아동 460명이었다. 방과후 방치 아동을 선정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분석 및 타당도분석(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종속변인은 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이었으며, 이들과 방과후 방치와의 관계에서 독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LISREL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과후 방치는 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에 방과후 방치와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 변인과의 관계에서 독서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과후 방치가 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과후 보호서비스는 다각적 접근을 해야 하며 특히 방과후 자신의 가정에서 방치되는 아동의 보호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하고 방과후 방치아동의 공격성, 사회적 위축, 우울의 감소를 위한 독서의 효과적 개입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fter school self-care has an influence upon children’s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the mediating effect of reading. This study utilized the panel data from the KCYPS (2011) for first graders and 2,342 cases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0 after-school self-care children. This study has proven the mediated effect - not only direct but indirect effect - of after-school self-care children’s reading and their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the level of reading 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nega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found that as the time for reading increased there was a corresponding decrease i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 also suggest that multidirectional policy services are required for the needs of after-school self-care children, especially those children who are home without adult super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