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구글플레이, 앱스토어, T스토어, 올레마켓, U+ 등 국내외 스마트폰 오픈마켓 유해정보의 유형, 유·무료 여부, 등급제도, 콘텐츠 속성을 확인하고, 차이를 확인하고자 했다. 아울러 오픈마켓 유해정보 검색 결과 중 실제 유해정보의 비율을 확인하고, 오픈마켓 및 계정(성인, 청소년)에 따른 유해정보 검색 결과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핵심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는 선정·음란물이 도박·사행성게임물, 범죄·폭력물에 비해 많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티스토어, 올레마켓, U+스토어 모두 도박·사행성게임물이 다른 범주의 유해정보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오픈마켓은 콘텐츠 등급이 해외 오픈마켓에 비해잘 부여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이 부여된 비율을 오픈마켓별로 살펴보면, 티스토어는 88.2%, 올레마켓은 95.6%, U+스토어는 92.6%로 나타났다. 이는 구글플레이(‘콘텐츠수위-상’)의 82.8%, 앱스토어(‘17+’)의 70.6%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다. 셋째, 검색결과 중 유해정보의 비율을 확인한 결과 올레마켓(82.0%)과 U+스토어(77.1%) 등 국내 오픈마켓은 해외 오픈마켓(구글플레이 46.5%, 앱스토어는 5.0%)에 비해 일치도가 비교적 높았다. 넷째, 해외 오픈마켓의 경우 성인·청소년 계정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한편, 국내 티스토어는 성인계정과 청소년계정으로 검색하였을 때 검색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올레마켓과 U+스토어는 성인계정과 청소년계정으로 검색하였을 때 검색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두 오픈마켓 모두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은 아예 검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미디어 환경에서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제언을 수행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smartphone open markets home and abroad includingGoogle Play, App Store, T-Store, Olleh Market, and U+ Store in terms oftypes of harmful information, free and paid service, grade system, and content attributes,as well as examine differences among them. In addition, the study aimedto check the actual ratio of harmful information among its research results at theopen markets and the differences in harmful information research results accordingto open markets and accounts (adults and adolescents). The main findings were asfollows:First, there was more suggestive and obscene content at Google Play and AppStores than gambling and speculative games and crime and violent content. Therewere more gambling and speculative games than other categories of harmful informationat T-Store, Olleh Market, and U+ Store. Second, the domestic openmarkets ran a better content grade system than their overseas counterparts. Specifically, the ratio of “Not Available for Adolescents” Grade was 88.2% atT-Store, 95.6% at Olleh Market, and 92.6% at U+ Store. They recorded a relativelyhigher ratio than Google Play (“Content Level-Upper”) with 82.8% and App Store(“17+”) with 70.6%. Third, the study checked the percentage of harmful informationamong research results and found that the domestic open markets such as OllehMarket (82.0%) and U+ Store (77.1%) showed comparatively higher agreementthan their overseas counterparts (Google Play: 46.5%, App Store: 5.0%). Finally,there were no differences in overseas open markets according to adult and adolescent accounts.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esearch results at T-Store between adult and adolescent accounts, Olleh Market and U+ Store witnessed differences in research results between adult and adolescent accounts. Both the open markets offered no research results under the “Not Available for Adolescents” Grad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made some proposals to protect adolescentsin the media environment of smartph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