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한국 정치 역사상 초유의 사건인 대통령 탄핵에 대한 여론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생들은 탄핵에 반대하는 여론이 다수라는 것을 먼저 확인하였다. 대학생 응답자들에게는 언론 매체가 그들의 의견 형성에 별 영향을 주지 않은 것 같다. 다수 여론이 소수 여론을 압도하는 불균형적 여론 환경에서 대학생들은 기존의 침묵의 나선 이론 등에서 제시하는 소수자 의견의 침묵과 같은 심리적 특징을 보이지는 않았다. 추후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지만, 오히려 소수 의견자들이 공개적으로 의견을 표출하는, 기존의 이론과는 다른 응답도 보였다. 그러나 다른 사람들은 솔직하게 의견을 교환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응답이 많은 것을 보면 자신에게는 적용되지 않지만, 이러한 여론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립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심리적 반응은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대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신문이나 방송에 대한 접촉도가 높지 않은데, 탄핵에 대한 반대 의견을 다수가 갖고 있는 것을 보면, 대학생들은 그들 특유의 정치적 의견이나 가치를 동질적으로 공유하고 있지 않는가 하는 판단을 하게 된다. 동시에 대학생들은 주위 여론 환경에 지속적 관심을 보이고 있고, 사회적 여론의 향배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의견 표출과는 별도로 여전히 대학생들에게는 고립의 두려움이라는 심리적 현상이 일정 정도 주위 여론 환경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탄핵 반대 의사를 행위로 표현해야 한다는 데에 대학생들은 다수가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대학생들이 탄핵 반대 의견을 갖고 있는 상황에서 부분적으로 침묵의 나선 이론에서 제시하는 심리적 고립의 두려움이라는 변인이 여론 환경을 인지하고, 탄핵 반대 행위를 표시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formation processes of public opinion concerning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which is recorded as the first gigantic political catastrophe in the Korean history of politics. College students(n=479) were surveyed about their opinions regarding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the extent to which they were influenced by mass media, the extent to which they have experienced the fear of isolation, the extent to which they paid attention to the opinion of others surrounding them,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agreed to the behavioral expressions about the impeachment. There was a major opinion and minor opinion in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opinions. The majority(about 70%) of the students opposed the impeachment, and only 9 % agreed. The study did not, however, discov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e., the tendency not to speak up in case of minor opinion holders as found in the theory of Spiral of Silence. It, rather, found a reverse effect such that minor opinion holders spoke up which is believed to be examined more in future studies. The study, however, found that many students agreed on the extent to which others would not exchange their frank opinions. Students, however, paid attention to the surrounding atmosphere of opinions of others partly due to fear of psychological isolation. Many students expressed strong agreements about the behavioral expressions of their political thinking on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The analysis did not find a significant impact of mass media on the opinion formation of college students, which is the function of their low exposure to mass media. As a whole, majority students seem to have a common political value or ideology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ther ag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