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참여 영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오늘날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에서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우선 역사적 차원에서 참여 영상의 초기 시도들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영상 인류학자들의 초기 ’나바호 프로젝트‘와 그 후속적으로 시행되었던 ’원주민 미디어‘ 관해 분석하였다. 영상 인류학자들에 의해 개발된 ’문화적 타자‘(원주민)에 의한 스스로의 공동체 이야기를 비디오로 담는 작업은 후에 커뮤니케이션 학자 및 실천가들에 의해서 사회문제 해결을 하는 차원에 적용하였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참여커뮤니케이션과 참여영상을 사회적 약자(소수자) 보호 차원과 저개발국가의 발전 모델을 구축하는 차원에서 적용되어왔다. 이러한 전통은 일부 독립영화 활동과 퍼블릭 액서스 운동으로 이어져 내려 왔다. 한편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네트워크 시대로 진입하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네트워크 시대에서의 개인 및 공동체의 모습이 과거와 현저하게 변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참여영상‘에 대해 재 조망한 것이다. 특히, 이선희의 누드 사진 사례에서 보듯이 ’장애인 여성과 성‘이라는 이슈를 중심으로 그동안 우리 사회에 있던 고정된 인식에 일대 변화를 야기 할 정도로 영향력이 컸었다. 이러한 사례는 과거 매스미디어 중심적 환경에서는 좀처럼 나타나기 힘든 것이었다. 가상공간에서의 개인의 부상과 상호교류를 통한 의미의 증폭은 역으로 매스 미디어의 관심을 끄는 기제로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초기의 영상인류학자 및 커뮤니케이션 학계에서 시도된 참여영상의 핵심적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디지털 네트워크 환경에서 개인들의 역할이 추가되면서 21세기 참여영상의 모습이 새롭게 그려지고 있다고 하겠다.


The article investigated the historical roots of the 'participatory videos'(PVs) in anthropology and communication/media fields. Interdisciplinary study was essential to discuss the overall meanings of the PVs. From the early 70s, media scholars and activists have begun to employ 'participatory communication/video' in order to solve social problems especially with regard to 'minorities' such as women, children, workers etc. The second agenda of the article is to re-evaluate the PVs in the digital network era. Networked individuals are prone to actively participate in making and sharing their(or communities) voices/ideas with text and/or multimedia forms. Lee sun hee (a mid-twenties disable women by an accident) posted her nude-photos on 'Ablenews' which is an online paper for the disabled. She protested the distorted perceptions among the people and society about the disable women's marriage and sexual life by the photos. The case had become the public and media agenda and given us a fresh impact on the disabled's sexual life and marriage. PVs in the modern digital network societies thank to 'peer to peer' interactions could be emerged as a new path of 'participation' and recognized as a source of pluralistic viewpoints.


The article investigated the historical roots of the 'participatory videos'(PVs) in anthropology and communication/media fields. Interdisciplinary study was essential to discuss the overall meanings of the PVs. From the early 70s, media scholars and activists have begun to employ 'participatory communication/video' in order to solve social problems especially with regard to 'minorities' such as women, children, workers etc. The second agenda of the article is to re-evaluate the PVs in the digital network era. Networked individuals are prone to actively participate in making and sharing their(or communities) voices/ideas with text and/or multimedia forms. Lee sun hee (a mid-twenties disable women by an accident) posted her nude-photos on 'Ablenews' which is an online paper for the disabled. She protested the distorted perceptions among the people and society about the disable women's marriage and sexual life by the photos. The case had become the public and media agenda and given us a fresh impact on the disabled's sexual life and marriage. PVs in the modern digital network societies thank to 'peer to peer' interactions could be emerged as a new path of 'participation' and recognized as a source of pluralistic viewpoi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