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텍스트가 어떤 방식으로 의미를 생산하며 어떻게 수용되는 가를 텍스트와 수용의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규명해 봄으로써 능동적 수용자론이나 수용자의 개인적 심리분석에 치중되어 온 수용이론을 접목하여 기존 수용자 연구전통의 한계점을 극복하는 한편 보다 균형 잡힌 텍스트와 수용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토크쇼 <아침마당> ‘부부탐구’ 코너의 텍스트와 홈페이지 시청자소감문을 분석한 결과, ‘부부탐구’ 텍스트는 장르, 상호 텍스트적, 이데올로기적 코드 등 의도적으로 배치한 일련의 장치를 통해 기존 가부장적 보수담론을 재강화하는 의미를 생산, 이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자의 수용을 매개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수용자의 부부관계에 대한 직․간접적인 경험과 진행자, 상담자에 대한 개인적 기대지평임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텍스트는 부분적으로 텍스트가 독자의 반응을 통제한다고 보는 이저(Iser)의 주장처럼 저자의 의도의 산물이며 시청자의 자율적 해독을 통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용분석은 수용자의 선경험, 기대지평과 공동저자들이 해독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고 시청자의 의미수용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골격 혹은 비판적 해독에 영향을 주는 매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This research is initiated from the problematics that the present audience theory is biased on active audience theory or text analysis so we attempt to integrate text and reception analysi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counseling program of married couple of <Achim Madang>, representative audience participant talk program, which has offered discursive space to the issue considered as very private. We analyse audiences' opinion on this program in bulletin board of website of the program and discourse of it as well as its formality and characteristics as talk show.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reception of audience is mediated by the in/direct experience of audience themselves and horizon of expectation on the MC and panelists. Text is the product of author's intention and it controls the reaction of audience but at the same time, audience also shows the autonomy in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