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제3자 효과 가설을 적용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자신보다는 일반 성인이, 일반 성인보다는 어린이·청소년이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을더 크게 받을 것이라고 편향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거리에 따른 제3자 효과가 확인되었다.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제3자 편향적 지각, 댓글·인터넷 이용 특성 및 수용자 특성과 관련된 변인들이악성 댓글 규제라는 행위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제3자 편향적지각보다는 자기 자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악성 댓글 규제에 대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 특성 변인 중에는사회·경제적 이슈에 대한 이념 성향, 자기통제력, 자기 효능감과 같은 변인들이 제3자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악성 댓글 규제에 대한 지지태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대학생들은댓글 모니터링 강화와 악성 댓글 작성자에 대한 처벌 강화에는 다소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태도를 보인 반면, 인터넷 실명제에는 지지 태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pplying the Third-person Hypothesis, this study explores negative effects of Internet reply called “Daet-Gul”, which has been a serious social problem. A total of 415 undergraduates partake in the survey as respon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hird-person effect increases in the perceived distance between self and comparison others,assuring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concept. The respondents perceive vicious Internet replies influence other average adults than self,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than other average adults. In addition,writing and reading of replies increase the magnitude of third-person perception. Support for censorship of replies is not predicted by third-person perception but by first-person effect. Ideological disposition on realistic social and economic issues,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for predicting the support for regulation of vicious replies. Respondents shows supportive attitudes toward the tightening of monitoring system on replies and punishment of transgressors who writes vicious relies. On the contrary, they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adoption of national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on all web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