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지난 10년간 EBS 지상파 편성 분석을 통해 교육/지식 프로그램의 분화 과정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EBS 편성논의의 주변성을 극복하고 그 특유의 편성적 성격을 논의의 장으로 끌어내고자 하는 의도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는 EBS 편성의 역사를 살펴본 후 채널 편성에서 장르(genre)와 영역(realm)에 대한 채널 고유의 문화설정상태(cultural set)를 설명하고 지상파 EBS 편성의 문화설정상태 논쟁을 소개한다. 방송 채널마다 각기 다른 편성상의특성을 지시하는 문화설정상태는 특정 채널의 장르와 영역의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으로 활용할 수 있다. EBS에게 장르가 교육/지식 프로그램의 존재양식이라면, 영역은 학교와 사회와 연결된 교육/지식 프로그램의 범주 또는 넓은 의미에서의 내용 혹은 가치를 뜻한다. 분석결과 지상파 EBS 편성은 특정 장르 중심성에서영역의 확장 및 장르의 다양성을 추구해 왔다. 그러면서도 특정 장르가 편성의 지배적인 상태에 있어 장르 편식이 있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s theoretically and empirically how the education/knowledge programs have been differentiated, through EBS terrestrial programming analysis from 1999 to 2010. This was started from how could constructivist knowledge production, consumption, participation,sharing harmonize with the school instruction and life-time education, which is EBS programming purpose, in convergence media age. Moreover, there was an intention that it need to overcome the marginality of EBS programming argument and bring it to the academic discussion. Solving this issue, this study glimpses the history of EBS programming, explains channel-characteristic ‘cultural set’ to the genre and realm in channel programming, and introduces the debates on the cultural set in EBS programming. Designating the peculiarity of programming in each broadcasting channel, cultural set, discussed by Raymond Williams(1974),could be used the concept for dynamics of genre and realm in each channel. For EBS, genre is the modes of existence in education/knowledge programs,meanwhile realm is categories, contents or values in education/knowledge programs connected to school and society. In result, EBS terrestrial programming has pursued the extension of realm and diversity of genre from a particular genre centrism. In the meanwhile, it was also discovered genre partiality which several genres had a dominant position in program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