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숙의적(deliberative) 요인과 정치 이념적 일치성이 인터넷 토론 참여자들의 게시글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게시글에 남겨진 추천/비추천 횟수를 종속변인으로, 주제의 공공성, 논리성, 토론 예의, 감정 등의 숙의 관련요인과 이념 일치 여부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예측모델을 설정했다. 방법론으로 내용분석이 사용됐으며, 진보와 보수 성향의 토론방 6개에서 285개의 게시글이 분석됐다. 연구 결과, 숙의 요인들은 게시글 평가 기준으로 제한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논리성 변인 가운데 출처의 질은 비추천을 덜 하는 방향으로 긍정적 평가를 유도했지만, 출처의 다양성은 추천을 덜하게 되는 부정적 평가로 이어졌다. 근거의 수나논리 구조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토론 예의와 관련된 존댓말은 추천수를 증가시켰으며, 부정적 표현도 예상과 달리 추천 수를 증가시켰다. 한편, 감정표출은 추천과 비추천 모두를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또 이념적으로 불일치되는게시글에 대해서는 추천 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됐다. 이는 숙의적 토론 양식이 인터넷 토론 공간에서 평가 규범으로 작용하기엔 다소 비현실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eliberative factors and political consonance of internet discussion postings influence the discussion participants’ evaluation of the postings. For this purpose, we proposed models predicting the number of recommendation/non-recommendation of the postings with deliberation-related predictors such as publicness,rationality, politeness, emotion expressed in the postings and political consonance between the postings and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discussion boards. A content-analysis was conducted with 285 postings collected from 6 discussion boards that hav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sources, a measurement of rationality, decreased the number of non-recommendations whereas the diversity of sources decreased that of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data(grounds, rationale) and the structure of rationality turned out non-significant predictors. Both polite words and negative expression mad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The number of emotion increased both recommendations and non-recommendations. Also, the postings politically contradicting with discussion boards showed a significantdecrease in the number of recommendations. This implies that deliberative factors may be too ideal to work as evaluative norms in the internet discussion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