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튝스베리와 그의 동료들(Tweksbury, Moy, & Weis, 2004)은 제삼자 효과 가설을 적용하여 사회 위험에 관한 미디어 보도의 영향력 지각이 응답자의 위험대비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제삼자 효과 가설과 추정된 영향의 영향 가설을 비판적으로 적용하여 튝스베리외의 모형을 수정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방사능오염수 유출 사건에 대한 미디어 보도에 관한 서베이를 실시하고(N=304)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자 자신에 대한사회위험보도의 영향력 지각은 응답자의 불안 정도를 경유하여 응답자의 위험대비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발견되었다. 둘째, 제삼자에대한 보도의 영향력 지각은 제삼자의 불안에 대한 지각과 제삼자의 행동에 대한 추정을 경유하여 응답자의 행동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의 행동 의도는 제삼자에 대한 사회위험보도의 영향력 지각보다 응답자 자신에 대한 영향력에 대한 지각에 의해 더 크게 영향 받는 것으로나타났다. 넷째, 응답자의 행동의도와 제삼자의 행동에 대한 추정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이론적인 의의와 실용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Based on the third-person effect hypothesis, Tweksbury, Moy, and Weis (2004)proposed a model for the effect of perceived impact of media coverage aboutsocial risk issues on respondents’ behavioral intention. The present studycritically examined Tweksbury et al.‘s model and proposed a new model basedon recent studies on the third-person effect and the influence of presumedinfluence hypothesis. A nationwide online survey (N=304) was conductedregarding media coverage about sea pollution by Hukusima nuclear power plantmeltdown. First, perceived impact of media coverage on self was found to havea positive effect on self’s behavioral intention via the degree of anxiety of self. Second, perceived impact of media coverage on o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self’s behavioral intention via perceived anxiety of others and presumedbehavior of others. Third, self’s behavioral intention was more influenced byperceived impact of media coverage on self than perceived impact of mediacoverage on others. Fourth, self’s behavioral intention and presumed behavior of others were found to have bi-directional cause-effect relationship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