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통령 후보자 TV토론이 그 민주적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데 기여하는 데 필요한 조건은 무엇인가? 대통령 후보자들을 동일한 공간과 시간에서 비교해볼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제공하는 TV토론은 유권자들 사이에 가장 관심도 높은 선거 캠페인의 요소로 자리 잡았다. 유권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토론의 핵심적인 요소인 쟁점(clash)이 형성돼 유권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토론의 질을 보여주는 하나의 측도로서 ‘관여’의 개념을 도입한다. 그리고 의미망 분석(semantic network)과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를 통해 TV토론에서 후보자 간 ‘관여(engagement)’의 정도를 늘리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유권자 층의 정치적 양극화가 심할수록 후보자들이 기존 지지층에 어필하기 위해 후보자 간 관여가 줄어들며, 현재 한국정치에서 유권자들이 대립 이슈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한 ‘통일/안보’, ‘정치’ 영역에 대한 토론에서 더 낮은 수준의 관여가 발생하는 것이 나타났다. 반면 토론에 참여하는 후보자 수가 적을수록, 한 이슈에 할당된 시간이 많을수록 관여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반면 자유토론이나 사회자질문 등 토론의 형식은 관여의 수준에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What are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a presidential TV debate to fulfill its expectedfunction of democracy? The presidential TV debate provides voters with a valuableopportunity to simultaneously compare presidential candidates simultaneously. Despite the usual post-debate hypes, many scholars have raised questions abouttheir contribution to creating an informed citizenry. This study introduces theconcept of 'engagement,' as a measure of the debate quality. Adopting a semanticnetwork analysis framework, we explore the factors augmenting engagementbetween candidates. Our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engagement is related topolitical polarization among the electorate, the nature of issues, the number ofcandidates in a debate, and the amount of allocated time for each topic. On theother hand, the format of a debate seemed to exert little influence in the level ofeng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