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유사보도는 대단히 환원적인 용어이다. ‘보도인데 보도가 아닌 것’, ‘보도가 아니나 보도인 것’. 본고는 유사보도 규제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시도한다. 유사보도 논의에 앞서 근본적으로 방송에서 보도규제를 하는 목적은 무엇인지, 보도규제의 정당성이 인정되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과연 현행 방송법상 보도규제는 정당한 것인지, 해외의 방송 보도규제는 어떠한지 등 이론적, 법리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보도의 규제기준으로 보도의 명확한 구분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보았다. 둘째 유사보도 규제가 보도규제의 정당한 목적인 다양성, 공정성 등 방송의 공적 책무를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셋째 유사보도 규제는 사전에 원천적으로 언론의 자유를 금지함으로써 위헌적 소지가 크다고 보았다. 넷째 방송법상 허가된 사업자만 보도가 허용되었다고 보기 힘들다는 점이다. 방송 허가제가 합헌적이라고 우리 사회에서 수용되는 것은 어디까지나 여론독과점 방지 때문이다. 다섯째 유사보도 규제의 자의성을 지적했다. 현행 방송법에서는 시행령이나 고시로 보도를 할 수 있는 채널을 허용하고 있으며, 유사보도 규제를 통해언제든 국가기관이 자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Pseudo-journalism is a highly reductive term in Korea: ‘Journalism but not journalism’, ‘not journalism but journalism’. The current paper therefore took a critical approach towards the regulations on pseudo-journalism. The mai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lear-cut division between journalism, seems realistically impossible. Second, current pseudo-journalism regulations do not uphold public duties of broadcasting, such as diversity and fairness, which are the proper purposes of journalism regulation. In fact, the regulation of pseudo-journalism, may be said to have the opposite effect on broadcast diversity. Third, regulation of pseudo-journalism may be considered largely unconstitutional, as it bans freedom of speech at the source. Fourth,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only businesses licensed by broadcast laws are allowed journalism, as the broadcast licensing laws are considered constitutional in Korean society is that they prevent monopoly of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Fifth, pseudo-journalism regulation is largely arbitrary. It is problematic that current broadcast laws allow the use of enforcement ordinances or announcements to allow journalism in selected channels, and that national institutions can apply pseudo-journalism regulations, very arbitrarily, at any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