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황순원의 『인간접목』은 6ㆍ25 전쟁으로 말미암은 공동체의 정체성혼란과 죄의식의 문제를 동시대적인 의식 가운데 신속하게 형상화한 전후소설이다. 이 소설은 어린이를 어른과 같은 사회구성원으로 인식하면서 전후사회에서 ‘어린이’와 ‘어른’이 함께 공유하는 ‘우리’의 정체성을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인간접목』에서 구현되고 있는 정체성의양상을 폴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을 특징짓는 또 다른 표현인 ‘자기성으로서의 정체성’은 이야기 기능을 매개로 하여 자아와 타자의 공유적 관계를 해석하는틀이다. 동시에 수행적 발화를 통해 개인의 윤리적 행위가 구체화되는지속적인 성격이기도 하다. 이 소설에서 서사적 정체성은 타자와의 상호 고백적 서술과 재구성된 이야기의 리텔링을 통해서 발현된다. 또한타자에 대한 약속 준수를 통한 수행적 발화에 의해서 서사적 정체성이구현된다. 자신의 정체성 속에 내재되어 있는 타자와의 공유적 관계를인식하면서 자신이 했던 말을 지속적으로 충실하게 이행해 나가는 것이서사적 정체성의 요체이다. 황순원은 이 소설에서 서사적 정체성의 구현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상처와 죄의식을 치유하고 사회구성원 간의 상호 신뢰를 회복하고자 했다고 할 수 있다.


Whang Soon-Won's Human Grafting is illustrated by the identity confusion and the sense of guilt of community after Korean war with his contemporary sense and judgement. It tried to find 'our' identity to be able to share with 'child' and 'adult' in postwar society, realizing children as members of community like adults.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zation aspect of narrative identity in Human Grafting through the concepts of Paul Ricoeur's narrative identity. 'Identity as selfhood' is another expression characterizing Ricoeur's narrative identity, and it is the outline interpreting the sharing relation between self and others by the medium of the story function. At the same time the individual moral act is materialized through performative utterance. Narrative identity is revealed by retelling of reconstituted story and the narration of mutual confession with others. Narrative identity is also materialized by performative utterance through keeping one's word with others. The main point of narrative identity is to keep one's word with what one said understanding sharing relation with others that is latent in one's own identity. Whang Soon-Won tried to heal the ethnic community's scars and sense of guilt, and restore community member's mutual tru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