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소월에 대한 그간의 평가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한국의 1920년대 전통시를 대표하는 시인, 둘째, 한국인의 보편적 감정과 운명을 토대로 자연(自然)과 정한(情恨)을 노래한 시인, 셋째, 향토적 감각으로 민요조의 율격을 사용한 시인이란 것이다. 그러나 소월의 시에 나타난 서도성과 근대성에 대한 그간의 논급은 미약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소월의 시는 7.5조의 민요조를 사용하면서 전통적 가락의 명맥을 잇고 있다는 교과서적인 일반론이 고수되어 온 바가 적지 않았다. 본고는 김소월 시에 나타난 서도성을 검토해 보고 이를 통해 김소월 시의 전통적 면모와 근대적 성향을 동시에 살펴보고자 한다. 예컨대 소월의 시 「진달래꽃」은 서도민요 ≪영변가≫와, 「초혼」은 ≪제전≫과 관련성이 있다. 「진달래꽃」은 서도지역의 “영변의 약산” 동대를 중심으로 피어있는 진달래꽃을 소재로 하고 있으며 ≪영변가≫ 역시 이곳을 배경으로 노래한 서도 민요이다. ≪영변가≫와 ≪제전≫은 서도 음악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곡들이다. 김소월은 그의 고향 ‘서도 지역’의 서도성을 당연히 체득하였을 것이기에 이를 「진달래꽃」과 「초혼」에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서도민의 활달한 정서는 소월의 시에 내포된 근대적 성향의 밑그림을 제공해준다. 주지하듯이 ≪제전≫은 죽은 자의 영혼을 달래는 “초혼제”를 노래한 것으로 김소월의 「초혼」은 이와 매우 유사한 정조를 지니고 있다. 소월이 어린 시절 목도한 초혼제의 제례 행위가 시 「초혼」에 반영되었으리란 추측은 충분히 가능하다. 부언하면 ≪제전≫은 죽은 임이 그리워 무덤가를 찾아가 망자(亡者)를 애절하게 부르며 탄식하는 초혼(招魂)의 제례의식이 바탕을 이룬다. 요컨대 「초혼」은 이와 같은 서도지역의 무속(巫俗)이 반영된 것으로, 소월은 이를 직접적인 시의 제목으로 삼음으로써 적극적으로 ≪제전≫의 성격을 반영하고자 했던 것이다. 김소월의 시가 이처럼 서도민요와의 관련이 깊고, 서도지역의 지명과 어조, 정서, 율격, 관습적인 제례의식을 사용한 면이 짙다 할지라도 이 모든 관계가 전통성과 연관된 것만은 아니다. 1920년대의 근대성이 김소월의 시에 분명히 드러나고 있는데 「초혼」에서 엿보이는 화자의 폭발적인 감정분출은 전통적인 면모보다는 근대적 성향과 관련이 더 깊다. 게다가 전통적 이별의 방식이 아픔을 참고 인내하며 억누르는 형태를 주로 보이는데 반해 「초혼」에 드러나는 낯선 감정분출의 직접적 표현은 이와는 확연히 다른 성격을 지닌 것이라 할 수 있다. 「진달래꽃」역시 이별을 부정하는 화자의 감정표현이 전통적 정서와는 얼마간의 거리가 있다. 요컨대 김소월 시의 서도민요와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 과정을 통해 김소월 시의 근대성과 전통성을 재구(再構)해 보는 자리가 마련될 것이다.


There were some common points in estimation of Kim So-wol. First, Kim So-wol was a poet who appeased wandering spirit of 1920's of Korea. Second, Kim So-wol was a poet who sang about nature, sentiment and sorrow based on his own fortune and Korean unique emotion in his poems, Third, Kim So-wol was a poet who made good use meters of traditional folk song with folksy atmosphere. Though traditionality expressed in his poems were greatly influenced by Seodo- folk song(서도 민요), detailed positive research on it has not been done yet and the discussion about it was limited to the degree that his poems kept the tradition of folk songs that preferred to use 7.5 met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Seodo folk song had on his poems in more detail. 「Chindalrae (Azalea진달래꽃)」, a poem of So-wol has close relations with ≪Yeongbyeonga 영변가≫, one of the Seodo folk songs. In addition, 「Chohon(Invocation초혼)」, a poem of So-wol has close relations with ≪Jejeon 제전≫. In 「Chindalrae (Azalea)」, Yeongbyeon's Yaksandongdae located at Seodo region was mentioned and ≪Yeongbyeonga≫ was Seodo folk song that focused on Yeongbyeon's Yaksandongdae which suggested close relations between 「Chindalrae (Azalea)」 and ≪Yeongbyeonga≫. 「Chohon(Invocation)」 has close relations with ≪Jejeon≫, one of the Seodo folk songs. ≪Jejeon≫ sang about sacrificial rite that aimed to appease a deceased and the atmosphere of 「Chohon(Invocation)」 written by So-wol is similar to that of ≪Jejeon≫ in that 「Chohon(Invocation)」 was based on sacrificial rituals of invocation of the spirit of a deceased in which the poetic narrator yearned for a deceased at a grave. 「Chohon(Invocation)」 was influenced by shamanism of Seodo region. The fact that So-wol made one of his poems entitled 「invocation」 suggested significant influence of Seodo folk song on his poems. Though poems of So-wol had close relations with Seodo folk song and used name of a place, tone, emotion, metre and sacrificial rituals of Seodo region, it is wrong to think that poems of So-wol have relations with only traditionality. In poems of So-wol, modernity of 1920's was found. Expression mechanism of emotion in 「Chohon(Invocation)」 had closer relations with modernity than traditionality. Traditional emotion about separation of Koreans was patience. Expression of emotion in 「Chohon(Invocation)」 and expression of poetic narrator who denied separation in 「Chindalrae (Azalea)」 were far from traditional emo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both modernity and traditionality of his poems when finding out the influence that Seodo folk song had on poems of So-w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