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그동안 국어교과서에 실린 시들의 기원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제시하여 그것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는 앞의 분석을 토대로 바람직한 정전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미군정기 이후 1차 교육과정기와 2차 교육과정기를 거치면서 현대시 정전의 구조가 완성되었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정전의 구조가 순수문학과 국가주의가 동거 혹은 공모하는 형태로 진행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3장에서는 현재의 국어교과서가 젠더적 차원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계급적 차원에서 노동 계급에 대한 지배 계급의 억압을, 미학적 차원에서 형식적 급진주의에 대한 형식적 보수주의의 배제를 교묘하게 은폐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현행 검인정 교과서 체제에서 발행된 교과서 역시 과거의 관행을 여전히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전은 과거의 문학작품을 해석할 수 있는 이론이 형성되거나 새로운 문학작품이 미학적 혁신을 동반할 때 언제든지 새롭게 재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의미에서 정전은 고정된 실체라기보다는 움직이는 미완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전은 지배이데올로기를 실천하는 강력한 매개체로 이용될 수 있는 동시에 지배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정전은 지배와 해방이라는 양 극단 모두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제 우리 사회도 정전을 어떻게 지배의 수단이 아닌 해방의 수단으로 활용할 것인가를 진지하게 성찰하고 모색할 할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wo-pronged: first, it aimed to present texts that were the origins of the poem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critically analyze them; and secondly, it intended to search for ways to organize a right can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ose purposes, Chapter 2 demonstrated that the canon of modern poetry was completed in structur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National Curriculum after 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and that the canon structure proceeded in the form of pure literature and nationalism cohabiting or plotting with each other. Chapter 3 revealed that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cleverly covered up male dominance over female in terms of gender, the oppression of the working class by the ruling class in terms of social class, and the exclusion of formal radicalism by formal conservatism in terms of aesthetics. It was because th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current authorized textbooks system continued to follow the old practice. A canon can always be reorganized anew when a new theory is formed to interpret literary works from the past or new literary works are accompanied by an aesthetic reform. In that sense, a canon is an incomplete, moving system rather than a fixed entity. It can also be used as a powerful medium to practice the dominant ideology and, at the same time, as a means to resist against the dominant ideology. That is, a canon can be utilized as a means by two extremes of dominance and liberation. Given those aspects, the Korean society has reached a critical point where it should seriously reflect upon and contemplate how to make use of a canon as a means of liberation instead of dom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