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역사 전환기에 대응하는 안축(1282∼1348)과 정지용(1902-1950?)의 문학적 자세를 살핌으로써, 그것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와 한계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안축의 문학적 거점은 중세 보편과 민족 특수 사이의 갈등을 통해 형성되는데, 그는 이 문제를 사대와 함께 오히려 중세 보편의 중앙으로 진입하는 전략을 통해 해소한다. 이때 그 거점은 사대부의 집단의식을 통해 형성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그들은 조선왕조를 건설하는 역사적 성과를 올린다. 곧 안축은 민족 발견을 통해 문제 해결의 주도권을 잡음으로써 중세 보편의 새 질서를 모색한다. <관동별곡>과 <삼탄> 같은 작품에서 그 작품적 증거를 찾을 수 있다. 정지용의 문학적 거점은 식민과 근대의 갈등을 통해 형성되는데, 그는 이 문제를 자유 가치 중심의 모더니즘을 통해 풀고자 한다. 그러나 식민 근대는 필연적으로 민족 문제를 파생하지 않을 수 없다. 정지용은 비교적 후기로 들어와 이 문제를 다루지만, 안축과는 달리 집단적 동력을 획득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바다 9>에서 보여준 그의 근대 기획은 당대의 한 업적으로 기록할 만하다.


This paper attempts to compare An, Chuk(1282-1348)'s literature with Jeong, Jiyong(1902-1950?)'s. An, Chuk's literary foothold can be said to be based on conflicts between medieval universality and national specialty, which he tried to solve through such strategy as touches the core of medieval universality with submission. As the result, new noblemen like An, Chuk achieved a historical success in building the Joseon Dynasty. Fundamental contradiction came to be settled through the discovery of the nation and so di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the examples of which can be found in such works as “a special verse on Guan-Dong”and “Sigh for Hemp.”Jeong, Jiyong's literary foothold can be said to be based on conflicts between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which he tried to solve through modernism focusing on individual freedom. However, the colonized modern can't help causing the problem of the nation, which Jeong, Jiyong dealt with in his later period, but his concerns wasn't more than romantic individualism. However, his modern project in “Sea 9” can be valued as a remarkable achievement and his literature foothold be said to be an exemplar today in that it foresees some aspects of this global 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