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과거에 속하는 역사적 인물이 현재에 와서 다시금 호명되고 재현되는 현상은 흥미롭다. 현재 역시 과거의 유산으로부터 자유롭지는 않을 터이나 현재적 필요에 의해 역사적 과거가 구성되고 변형되는 과정은 현재가 당면하게 된 모종의 결핍과 그에 대한 나름의 대안을 여실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에 점증하는 단군 관련 기록들을 토대로, 그에 대한 기억의 지형이 변화하는 과정과 그 원인을 ‘중화주의’라는 프리즘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도달하게 된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8~19세기 들어 단군은 조선의 역사적 시공 안에서 이전과 다른 모습과 위상으로 표상되기에 이른다. 믿을 수 없는 ‘빈 말’에서 ‘역사적 사실’로, 본문 이외의 별도로 된 기록을 의미하는 ‘外記’에서 역사적 정통성을 인정받은 ‘本紀’로, 어떠한 질서도 잡히지 않은 ‘혼돈’의 시절에서 소정의 제도를 구비한 ‘문명’의 시기로 이동하게 된 것이다. 양 극단에 위치한 3개의 대립항들은 전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면서 벌어진 단군에 대한 기억의 변모 양상을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동일인에 대한 기억의 편폭치고는 대단히 넓은 편인데 그렇다면 이러한 변화의 원인은 무엇일까?조선 후기의 지식인들은 단군을 정통으로 인정하고, 교화의 공적을 단군에게 돌림으로써 중화적 질서의 연원을 기자 이전의 단군 시기로까지 소급시키고자 했다. 이를 통해 중화적 질서가 조선에‘만’ 남아 있다는 소중화 의식의 진실성은 더욱더 담보될 수 있었다. 조선 후기의 지식인들이 중화 문명의 중심성을 그대로 전제한 상태에서 그것을 무너뜨린 청나라에 대응하여 중화 문명을 대신 계승하고자 했다는 역사적 조건을 감안하면, 단군도 기자와 같이 유교 문명과의 연관성을 어떤 식으로든 가질 때라야 그들에게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 요컨대 조선이 중화의 문명을 보유하게 된 역사적 시원이 기자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때 조선의 ‘중화됨’은 한층 더 견고해 질 수 있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단군은 새로이 ‘기억’될 수 있었다.


It is interesting to see a historical figure in the past being called out and recreated. This is only natural because the present is not free from the heritages of the past, but the process in which historical pasts are constitut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current needs show the deficiencies of the present while showing an alternative for such deficiency. Based on records related to Dangun that steadily grows in the latter Joseon Dynasty, the process and reasons for the change of memory on it was examined through the prism of 'Sino-centrism'. The tentative conclusion that was arrived at in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angun was described in a different appearance and status compared to the past in the historic time and space of Joseon. It shifted from an unbelievable 'unreliability' to 'historic fact', from '外記' referring to records made aside from the main content to '本紀' that are deemed to be legitimate, and from the time of 'confusion' where there is no order to a period of 'civilization' that has some kind of system. The three conflicting sides that are positioned in extreme opposites show a compressed version of the transformation of memories on Dangun that occurred in the transition from the early to later periods. This is a very vast gap for memories on the same figure. Then, what is the reason for such transformation?The intellectuals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recognized the legitimacy of Dangun and reverted the achievement of reformation to Dangun in order to retroactively place the source of the Sino-centric Tributary System to the period of Dangun prior to Gija. By doing so, it was possible to further guarantee the 'veracity' of the Sojunghwa (small China in which the legacies of China are continued) concept in which the Sino-centric Tributary System is left 'only' in Joseon. When considering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latter Joseon Dynasty had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they attempted to continue the Sino-centric civilization in response to the Qing Dynasty that demolished it based on Sino-centrism, it had meaning to them only when Dangun had some kind of correlation with the Confucian civilization like that of Gija. In summary, by tracing the historical starting point in which Joseon possessed Sino-centric civilization to before Gija, it was possible to make the 'Sinofication' of Joseon stronger, and from this perspective it was possible to newly 'remember' Dang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