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羅獻容의 <卽墨大夫封石鄕侯石君墓碣銘>를 대상으로 假傳 문학의 전개방식을 원용하고 있는 擬人文學的 특성과 의미를 고찰하고 그 문학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羅獻容(1851∼1925)의 蕙田集 권5에 수록된 <中書門下同平章事管城侯毛君墓誌銘>, <卽墨大夫封石鄕侯石君墓碣銘>, <陳玄傳>, <楮先生傳>은 각각 붓, 벼루, 먹, 종이 순으로 문방사우 전체를 墓誌銘, 墓碣銘, 假傳 양식 안에 담아 擬人文學의 영역을 확대해 놓은 주목되는 문학유산이라 할 수 있다. <卽墨大夫封石鄕侯石君墓碣銘>은 假傳의 관습적인 형식을 답습하지 않고, 벼루를 擬人化한 묘갈명 형식을 원용하고 있는 유일한 작품인 점에서 조선 후기 의인문학사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작품이다. 假傳의 효시격인 한유의 毛潁傳은 물론, 文嵩의 <文嵩四侯傳>을 규범으로 삼고 있으면서도, 소재의 취사선택과 활용 면에 있어서 일면 창의적인 형식과 내용을 더하여 이를 계승 발전시킨 면에서 문학사적 가치가 적지 않다. 우선 주인공을 소개함에 있어서 일면 일대기적 사건 구성과 결부시켜 世系나 官爵 이외에 개인의 성품과 위인 됨, 수신과 처세를 부각시키는 데에 주력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작자의 도덕적 가치관의 추구와 의인화된 대상의 덕성과 성품에 대한 칭송을 중심으로 한 일화의 나열식 서술에 있어서 비교적 유기적인 구성으로 짜여 있음을 보여준다. 의인 묘갈명을 활용한 유교 이념의 글쓰기 방식을 수용하면서도 儒者로서 학업과 덕행에 힘쓰고 修身과 處世에 관련된 교훈적인 勸戒 지향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해, 심오한 함축적 의미를 내포한 寓意的인 수법을 십분 활용하고 있다. 적절한 인용 고사와 용어 선택 및 소재의 취용에 이르기까지, 불필요한 고사성어의 남용을 절제하고 최소화하는 가운데, 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본고는 벼루를 소재로 한 의인 墓碣銘 형식의 작품을 학계에 처음 소개하여 문방사우 소재 擬人文學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suit of this thesis on Na Hunyong's <JeukmookdaebuBong SeokhyanghuSeuokkunMyogalmoung> is to try to consider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impersonation literature applying the manner of developing Gajeon literature, looking into it's values in literary history. NaHunyong's Hyejeonjip, volume5 contains <Jungseomunhadongpyong jangsaKwansunghuMogunMyojimyong>, <JeukmookdaebuBongSeokhyanghu SeuokkunMyogalmoung>, <Jinhyunjeon>, <Jeosunsaengjeon>, which are noteworthy literal assets for expanding the realm of impersonation literature representing respectively 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a wring brush, an ink stone, an ink stick, paper) through Myojimyoung, Myogalmoung and Gajeon style. <JeukmookdaebuBongSeokhyanghuSeuokkunMyogalmoung> is<Myogalmoung> personifying an ink stone which didn't imitate customary style, Gajeon, and broadened the area of impersonation literature, and so it has not-negligible literary values. Modeling after not only Hanyu's <Moyoungjeon>, a pioneer of Gajeon, but Moonseung's <MoonseungSahujeon>, it succeeded and developed them through adding creative form and substance in a sense of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a subject matter. And so it has not a little literary value. Na Hunyong accepted a writing method based on the Confucianism ideology, while he got full mileage out of allegorical method containing profound connotative meanings to express effectively the aim of warning related moral trainings and the arts of life striving after hardworking studies and moral conduct as a Confucianist This work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he restrained and minimized unnecessary fables and phrases from proper alluded historical events to diction and borrowing of material, making full use of these systematically. This article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troduces for the first time a work of a style of the personification Myogalmyoung which is based on the inkstone of material into the literary world, trying to expand the study range of a personification literature dealing with munbangsau(the four precious things of the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