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고토쿠 슈스이의 『20세기의 괴물 제국주의』의 한문역본과 이 한문역본을 저본으로 삼은 『조양보』 연재 국한문체역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국한문체역본의 저본을 확정하였고 근대계몽기 한국의 번역과 언론매체와 한문이 가지는 관계도 논했다. 『제국주의』의 중국판 한문 번역본을 국한문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한글의 통사구조가 반영되고, 한문의 구사 방식에서 한국과 중국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은 국문의 당대적 모색을 보여주는 지점이다. 인용문에 나타난 번역의 구체적 양상은 한편, 국문과 한문 사이의 작문 차원의 차이점과 중국과 한국이라는 국경과 문화적 경계 속에서 공유된 한문 문화권 내부의 차별성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해석할 여지도 충분하다. 『조양보』의 번역자들은 시사정보를 담은 중국 한문 문장을 자국의 언어 질서를 반영한 국한문체로 옮기는 과정에서 국문을 실천하는 동시에 국문의 경계를 모색한 것이다. 또한, 이 국문과 번역의 실천이 한국사 초유의 국가적 ㆍ 문화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번역의 추구 속에서 이루어진 점도 의미심장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translational aspec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translations of Gotoku Shusui’s Imperialism the Monster of 20th Century. Through comparison analysis, I identify the source book of Korean translation(1906) of Imperialism in Joyangbo is Chinese translation(1902). Moreover, I discuss relations among translation, literary Chinese and Korean Media in Modern Enlightenment era. During translation process of Chinese translation, Korean Gukhanmun Style translation reflects the syntax structure of Hangul and modifies literary Chinese words and expression according to Korean linguistic customs. Those translational aspects are closely related to pursue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also, the discoveries of differences within Chinese Letter circle. Translators of Joyangbo translate Chinese translation containing information on current affairs with Gukhanmun Style reflecting Korean linguistic customs. Through translation, they seek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recognize linguistic and cultural boundaries among East Asian Chinese Letter circle. Moreover the translation of information on current affairs is the respond to cultural and political crisis, colo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