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시산하기 위해 산업별 수출단가지수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이렇게 추정된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패널단위근 검정을 통해 구매력평가설이 성립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 추정 결과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전에는 산업에 따라 실질실효환율의 격차가 상대적으로 컸으나 이후에는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 단위근 검정 결과 “단위근을 가지고 있다”는 귀무가설을 5%의 유의수준에서 기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crosssectional dependence를 어느 정도 통제한 상태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한국의 산업별 실질실효환율을 이용하여 반감기를 측정하였는데 계산 결과 1.8년으로 나타나 Rogoff(1996)가 제시한 반감기 범위인 3~5년보다 짧았다.


This study uses the export unit value index by industry which estimates the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in Korea.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long-run PPP hypothesis with the panel unit-root test. The result from the estimation of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shows that pre-East Asian financial crisis era had higher volatility in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than the post-East Asian financial crisis era. In other words, the volatility h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East Asian financial crisis. The results from the panel unit root tests could reject the unit root null hypothesis in favor of the alternative hypothesis of level stationary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same results are shown in the presence of cross-sectional dependence. The point estimat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half-life of deviations 1.8 years, which is shorter than Rogoff (1996)’s estimates of 3-5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