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성장세 둔화와 더불어 경기의 변동성도 현저하게 축소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기 변동성 축소가 경제의 안정성을 제고하고 불확실성을 해소할 경우 투자를 늘리고 성장률을 높이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정책당국의 경기조절 능력이 향상된 결과일 경우에는 정책효과의 제고라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반면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추세성장률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경기 상승 모멘텀 확보를 어렵게 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최근의 경기 변동성 축소 현상을 엄밀히 진단하고 그 원인을 다각도로 점검하는 것은 앞으로의 경제 운용방향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 우리 경제의 경기 변동성 축소는 주로 물가변동성 감소 및 금융발전, 서비스업의 비중 증가, 세계 경기 변동성 축소, 추세성장률의 지속적인 하락, 경상수지 흑자 기조 지속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인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경기 변동성의 추세적 흐름을 면밀히 살피면서 대외충격의 감소가 아닌 내재적 성장 동력의 위축을 통해 변동성이 축소되는 측면은 없는지 점검하고, 경기 모멘텀 확보와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겠다.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a conspicuous contraction in volatility, together with a slowdown in growth. Generally speaking, a contraction in economic volatility has some effect in promoting growth and investment by expanding economic stability and lessening the degree of uncertainty. On the other hand, however, if economic uncertainty still exists while the trend growth rate keeps falling, it will be negatively regarded as an obstacle to recovery. We accordingly analyze the recent contraction in Korean economic volatility and try to determine its various reasons, which we expect will provide some relevant policy implications. Our analysis finds that the recent decline in volatility have been caused by many factors, including a contraction in inflation volatility, an expansion in the size of the service industry, the reduced volatility in the world economy, and the persistent decline in the trend growth rate. For future policy, while closely monitoring the movements of economic volatility, it should be rigorously checked whether the contraction in volatility is attributable to structural restraints on the drivers of endogenous economic growth or to declines in the size of external sh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