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영국혁명의 주요 사건 중 하나인 퍼트니 논쟁의 정치언어와 이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퍼트니 논쟁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시각은 이것이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사상적 도전에서 근대정치사상의 태동에 이르는 담론의 구조와 역사를 상징한다고 하는 것이다. 퍼트니 논쟁에서 ‘수평주의자’들의 주장은 직접적 계시의 프로테스탄티즘 교리에 바탕을 둔 급진적 정치사상의 전형이며, 비판자들은 이의 무정부적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고 관습과 절제된 이성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적어도 영미정치사상의 전통에서 볼 때 이는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으로부터 근대정치사상의 등장에 이르는 역사적 과정의 상징이고 축약이다. 본 연구에서는 퍼트니 논쟁의 구체적 언어들 속에서 프로테스탄티즘의 정치사상적 도전의 성격과 한계, 이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담론의 모습들을 살펴 보고, 서구 근대정치사상 태동의 맥락에서 퍼트니 논쟁의 정치사상사적 의미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 비서구의 입장에서 서구 근대정치사상을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우리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languages and their historical meanings of the Putney Debates, 1647,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vents of the English Revolution. I will argue that the Putney Debates in many respects represents the whole histor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the West. The Levellers here advance a radical democracy typical of the Protestant political thought, based upon the concept of sola scriptura and revelation, while the criticism of the Grandees represents a modern challenge to the allegedly anarchistic tendencies of such Protestant radicalism. The Putney Debates clearly shows the nature and limitations of the Protestant poltical challenge, on the one hand, and a modern response to the challenge, on the other, thus anticipating the emergenc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omas Hobbes and John Lock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histocal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the nature and relevance of the modern political thought of the West in the non-Western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