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56개 기업의 원가관리담당자에 대한 설문응답과 제조원가명세서 등을 바탕으로 한국 기업의 원가발생구조 및 원가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우선 경쟁과 복잡성 증가 등 생산환경의 변화가 제조간접비 증가와 원가정보의 정확성 변화 등 원가구조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해 진단했다. 한편, 생산환경 변화에 따른 원가관리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은 원가시스템 및 원가관리실무 개선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데,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산의 복잡성 등 환경 변화가 원가시스템의 개선 필요성과 원가정보의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원가관리 수준이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경쟁이 심한 기업일수록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생산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등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생산복잡성의 증가가 제조간접비의 증가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생산복잡성이 높으면서 원가시스템의 정교성이 낮은 기업일수록 원가시스템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가정보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관리회계목적 원가정보의 정확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가정보의 정확성이 높아질수록 원가정보의 활용정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원가정보의 활용을 통한 원가관리 수준이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에서 원가관리에 대한 실무적인 노력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current study explores cost incurrence structures and cost management practic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in Korea via survey responses from and the schedules of cost of goods manufactured of fifty-six companies. First, we assess the impact of production environment changes such as the increases in competition and complexity on the level of overhead costs and the accuracy of cost information. Second, we also investigate how the complexity increase affects the need for cost system improvement and company’s reliance on cost information for various purposes. Lastly, the impact of improving cost management system on the company’s performance is examined.The result shows companies tend to increase production complexity as competition grows.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for the US companies, however, increase in competition does not lead to increases in overhead costs. The need for cost system improvement is perceived to be higher when companies have less elaborate cost systems while competition grows. When companies compute cost information for wider ranges of cost objects, the accuracy of cost information for managerial accounting purpose becomes higher, which in turn increases the application ranges of cost information. Companies’ performance, however,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application ranges of cost information, which implies the cost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are yet to be improved.*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Business,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