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실무에서 많은 기업들은 경쟁우위의 원천인 조직역량(조직학습․혁신)을 강화시키기 위해 막대한 비용과 예산을 투자하고, 최고경영진 리더십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는 조직역량 강화가 우연한 기회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최고경영진이 의도적으로 조직역량 강화에 적합한 환경과 조건을 형성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이다(Senge, 1990). 관리회계 문헌에서 최고경영진의 성과측정시스템(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 이용과 조직역량간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최고경영진의 성과측정시스템 이용(진단적․상호작용적 이용)은 조직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enri, 2006). 성과측정시스템은 의사결정, 계획수립, 그리고 성과평가 등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Merchant와 Otley, 2006). 그러나 관리회계분야에서 최고경영진 리더십이 조직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Vera와 Crossan,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진의 리더십 스타일과 조직 역량간의 관계에서 성과측정시스템 이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제조업 외감기업의 최고경영진(CEO, CFO, 임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리더십 스타일(구조주도형 리더십․배려형 리더십)과 조직역량 간에 성과측정시스템의 상호작용적 이용의 매개효과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성과측정시스템의 진단적 이용의 매개효과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특히, 구조주도형 리더십은 직접적으로 조직역량 강화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조주도형 리더가 성과측정시스템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증가시킬 때, 상호작용적 이용의 매개효과로 인해 조직역량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과측정시스템의 상호작용적 이용을 강조하는 기존의 선행연구(Bisbe와 Otley, 2004; Henri, 2006)와 일치한다. 이는 실무에서 조직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진의 성과측정시스템 이용방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의 관리회계분야에서 최고경영진을 대상으로 리더십 스타일, 성과측정시스템 이용, 그리고 조직역량간의 관계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라는데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또한, 실증연구가 부족한 최고경영진 리더십이 성과측정시스템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확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practice, many businesses invest enormous amount of money in order to reinforce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such as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the source of competitiveness, and are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 top management team(hereinafter, the “TMT”) on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 This is because the reinforcement of organization capabilities is not created by accident, but only by intentional endeavor to form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s to reinforce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Senge, 1990). In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use of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s(hereinafter, the “PMS”) of the TMT and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 in the literature on managerial accounting, the use of PMS of the TMT affects the reinforcement of organization capabilities(Henri, 2006). The PMS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planning and performance evaluation(Merchant and Otley, 2006). However, there is a lack of practical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 TMT on managerial accounting(Vera and Crossan, 2004).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M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of the TMT and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 For such purposes, the TMTs(CEOs, CFOs, Executives) of domestic manufacturing companies required to be audited by external auditors have been surveyed, and the data based on the surveys have been collected and analyzed. In summarizing the conclusion of the current research, I have foun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interactive use of the PMS in the leadership style (initiating structure, consideration style) and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diagnostic use of the PMS have not been found. In particular, initiating structure leadership has not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inforcement of organization capabilities, but when a initiating structure leader uses interactive use of the PMS,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 have been found to be reinforced due to the mediating effects of such interactive use. This conclusion is in line with the previous studies emphasizing the interactive use of the PMS(Bisbe and Otley, 2004; Henri, 2006), and implies that the means of use of the PMS by the TMT is important in order to reinforce organization capabilities in practic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managerial accounting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 the use of the PMS and the organization capabilities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TMT. I anticipat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of the TMT to the use of the PMS, an area which currently lacks practical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