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원가의 하방경직성(cost stickiness)과 관련된 연구는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Andersen et al.(2003)의 연구 이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합리적인 의사결정 관점에서 원가의 하방경직성은 매출 감소에 대해 즉각적으로 잉여자원을 처분하지 않고 보유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즉, 조정비용은 원가의 하방경직성을 야기 시키는 원인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횡단면적으로 하방경직성을 측정한 Andersen et al.(2003)의 모형과 달리 개별기업 수준에서 하방경직성을 측정한 Homburg and Nasev(2008)의 하방경직성을 산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하방경직적인 원가행태를 보이는 기업의 조정비용과 재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산집중도, 종업원집중도, 매출의 변동성, 원가의 고정성은 양(+)의 값을 보고하여 하방경직적인 원가행태를 보이는 기업의 조정비용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방경직성을 나타내는 기업의 비기대이익, 성장성, 유동비율은 양(+)의 값을 나타내었고, 부채비율은 음(-)의 값을 보여 주요 재무적 특성들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스피 기업과 코스닥 기업을 대상으로 평균 차이 검정을 분석한 결과 하방경직성, 조정비용, 재무적 특성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넷째, 하방경직적인 원가행태를 나타내는 기업의 조정비용과 재무적 특성은 시장에 따라 상이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방경직성을 나타내는 기업의 조정비용과 재무적 특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시장의 성격이 상이한 코스피와 코스닥 기업을 구분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코스닥 시장의 원가행태에 대한 연구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After reporting the Andersen et al.(2003), the studies of cost stickiness are very active and most of them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st stickiness. In the reasonable decision perspectives, cost stickiness should happen to keep the unutilized resources instead of selling them promptly as sales go down. In other words, adjustment cost is one of the reasons to make the cost stickiness. This study shows the adjustments cost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firm showing cost stickiness using the Homburg and Nasev(2008) model. The result of the study, asset intensity, employee intensity, sales volatility, and cost fixity are positive. It means that in showing cost stickiness firm has the high adjustment costs. Second, unexpected earnings, growth, and current ratio are positive, and debt ratio is negative. Hence, we know that showing the cost stickiness firms possess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Third, this study finds out the difference of cost stickiness, adjustment cost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listed companies in KOSPI and KOSDAQ. Finally, the adjustment cost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rke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to provide the adjustment costs and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showing cost stickiness firms, and it compares the listed companies in KOSPI and KOSDAQ based on the market peculiarities. It will improve the relevance of management information. Moreover, it implies that only less cost decreasing gives awareness to the importance over the earning’s asym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