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현대 국어에서 파생접미사의 지위를 가지는 한자어 중 자립명사로 발달하는 것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설명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기존 논의에서 개별적으로 다루어진 항목에 새롭게 발견한 항목들이 포함된 ‘기(氣), 꾼(軍), 설(說), 장(長), 증(證)’이 연구 대상이 된다. 이들은 자립성을 획득하면서 음운이 재구조화되고 의미가 변하는 과정을 동반한다. 접미사에서 명사로의 변화는 문법적인 표현이 어휘적인 표현으로 바뀌는 것이므로 문법화의 단일방향성에 반대되는 역문법화 현상이 된다. 이러한 ‘기(氣), 꾼(軍), 설(說), 장(長), 증(證)’의 관찰을 통해 역문법화도 문법화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경향으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account for Sino Korean derivational suffixes which develop into independent nouns. These suffixes include ‘ki(氣)', ‘kkwun(軍)’, ‘sel(說)’, ‘cang(長)’, and ‘cung(證)’, only some of which have been studied separately in literature. Their phonological forms and lexical meanings undergo a change while acquiring independent status. The process falls under ‘degrammaticalization’ which is contrary to the alleged unidirectionality of grammaticalization. This observation tells us that degrammaticalization can be considered to be a general phenomenon like grammati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