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식민사상가의 선구자'로 저명한 에도시대의 사상가 혼다 도시아키에 대한 사상적 담론과 역사적 배경을 다룬 내용이다. 혼다 도시아키는 에도시대를 대표하는 경세자로 유명하다. 그가 남긴 '경세비책'은 혼다를 에도시대 최고의 경세가로 인식하게 하는 대표적 경제 서적이다. 그런데 혼다는 메이지시대에 들어서 연구 대상으로 떠올랐고, 대부분이 그를 ‘식민지 경영론’의 선구적 사상가로 평가했다. 이것을 그가 ‘속도개업론’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의 분석으로 혼다가 '속도개업'에 관심을 둔 것은 무엇보다 일본과의 근거리에 위치한 지역이며, 종래 일본과의 교역을 해 왔던 곳이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혼다는 '속도'를 일본 주변부 근린지역으로 상정하고, 이들 지역과 교역하면서 일본 내 물자 부족을 신속히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녔다고 평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혼다는 무역을 중심으로 사회 개선책을 모색했는데, 그 점에서 볼 때, 러시아는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됐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에조지역 주민들이 러시아과 친밀한 관계를 갖는 것에 대해 위기의식을 느꼈다. 그는 에조지역과의 관계개선책으로 교역을 주장했고, 이러한 주장이 ‘속도개업론’의 중심을 이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혼다를 ‘식민지 경영론’으로 파악한 것은 메이지시대 이후 제국주의의 팽창과 더불어 혼다의 사상을 재구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는 이러한 문맥에서 에도시대의 사상가들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f Honda Toshiaki, who is well-known as the founder of the Japanese philosophy for colonialism, and to examin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thoughts. Honda Toshiaki, a distinguished social thinker during the Edo era, acquired a reputation with his publication concerning governing and economic managements, A Secret of Governing. During the Meiji era, he has been called the founder of a discourse of the ‘colonial governing,’ because he presented an argument for ‘cultivating neighboring territories.’His academic interests in ‘cultivating neighboring territories’ originated from his emphasis on trade and its positive effects on Japan’s economic development. Whil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rade, he argued that trade with neighboring countries near Japan would be more effective to resolve the problematic shortage of goods and materials in Japan. However, since he considered Russia as the potential threat to Japan’s national security, his key target area of cultivating trade was not Russia, but rather the Ezo area (currently Hokkaido) between Japan and Russia.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 with the Ezo area, he pointed out the significance of trade. Therefore, the promotion of trade with the Ezo is the core of his argument for ‘cultivating neighboring territories.’Although, however, his discourse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colonialism, he has reevaluated as the founder of the ‘colonial governing’ during the Meiji Era. It is because the Meiji intellectuals have reconstructed and utilized his thoughts in order to rationalize Japan’s imperial expansion to As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other social philosophers of the Edo era, who have been considered as founders of the Japanese imper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