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만주국 거주 조선인들에 관한 기존 자료들을 비판적으로 정리하며, 인구역동을 통해 그 사회적 지위에 접근한다. 조선인들은 단순한 유형을 거부한다. 이들은 만주국 전기에 주로 불안전한 농촌지역과, 도시의 유흥업에 집중했다가, 후기에 2, 3차 산업에 일부 진출한 소수자이나, 중일전쟁 후 전문직, 공적 부문에서 일본인들의 공백을 메우고, 두루 진출한 특이성이 있다. 후반기의 이 가시적 성장은 만주국 패망 직후 중국인에 의한 박해의 씨앗을 안고 있었다.


Through the population dynamics, this paper approaches the social status of Koreans in Manchukuo while checking the validity of the previous data. Their status refuses simple categorization. The Koreans were peripheral minority who clustered around unsafe rural area and urban amusement quarters in the early period, and became partially represented in the secondary and tertiary sectors in the late period. However,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there arose a stratum of Koreans in white collar and public sector positions due to the consideration by or the vacuum of Japanese rulers who were conscripted for the final stage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Furthermore, Koreans were visible and omnipresent in almost all the posts and job opportunities in Manchukuo. This conspicuity had the seed of the persecution by Chinese right after the demise of Manchuku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