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시민교육의 방법으로 사회참여 체험학습의 모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대의 민주주의는 시민의 정치적 무관심과 참여 저조로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고 참여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정치과정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의 모든 영역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그래서 시민교육은 사회생활에 적극 참여하는 민주시민을 길러내기 위해 사회참여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할 필요가 있다. 사회참여 체험학습은 민주주의에 관한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의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을 통해 시민의 자질(시민성)을 기르는 교육방법이다. 하지만 기존의 사회참여 체험학습은 체험학습의 이론적 토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고, 학교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하지 못했다. 사회참여 체험학습은 단순한 견학의 수준을 넘어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교사와 학생들이 자기 지역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모형과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체험학습의 이론적 토대에 기초하여 사회문제의 해결에 참여하는 체험학습의 모형과 청소년 유해환경 감시단, 문화재 지킴이, 청소년 의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험적으로 적용해보았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들은 학교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고, 학생들이 자기 지역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과정에 적극 참여하겠다는 태도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이었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Today the representative democracy comes to a crisis by a political apathy and lack of social participation. To overcome this crisis citizenship education provides the programs for experiential learning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But until now experiential learning models do not study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do not provide a practical programs to apply the social studies class straightway. Thus this paper develops the programs of 'watchman for harmful environment to youth',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monitors', 'youth assembly'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experiential learning. Teachers and students have made practical use of this programs in the social studies class. This programs were effective to the improvement of the political efficacy and the attitude of social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