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 습득 방법으로서 행위 중 반성이 예비교사 프로그램으로 적합한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Sch쉗의 ‘행위 중 반성’의 개념과 속성을 살펴보고, 둘째, 행위 중 반성이 학습될 수 있다는 Sch쉗의 논리를 Wittgenstein의 사적 언어에 대한 논리로 분석하였다. 셋째, 행위 중 반성을 다른 반성과 구분되도록 하는 사고와 행위의 즉시성이 과연 실행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Sch쉗의 행위 중 반성 개념이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접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론적으로 볼 때 행위 중 반성 과정에서 요구되는 느낌, 감각, 뉘앙스 등 사적 감각이나 감정은 언어적 전달 가능성이 적어 가르치기 어렵다. 둘째, 수업 중에 심사숙고하여 반성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Sch쉗의 행위 중 반성은 그것이 갖는 즉시성과 상황 맥락성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실행가능성이 낮다. 셋째, 행위 중 반성을 적용한 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보면 행위 중 반성보다는 행위 후 반성에 초점이 맞춰지고 반성을 익혀야 할 일종의 기술로 구조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행위 중 반성을 정확하고 정교하게 프로그램화하지 못한 결과라기보다는 앞서 살펴본 행위 중 반성이 갖는 인식론적 모순과 내적 한계의 결과로 해석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the relevance of the reflection in action as a method of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to be used as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is, the paper first introduces the meaning of reflection in action argued by Donald. A. Sch쉗, analyzes Sch쉗? argument by using Wittgenstein? notion of private language, explores feasibility of immediateness of thinking and acting, and evaluat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ch쉗?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in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the paper finds (1) the private emotions and sense such as feelings, sense, and nuance that we have dur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in action do not have language delivery function in terms of epistemology, so they are difficult to teach. (2) the feasibility of Sch쉗?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is seriously limited due to its immediateness and situation context. (3) the actual college level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focuses on reflection on action not on reflection in action, and treats reflection as a sort of skill that we have to acquire. This is not because they fail to develop a sophisticated program for reflection in action, but because reflection in action itself has som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erms of epistem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