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시작으로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도 ‘다문화’, ‘다문화 교육’ 이라는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다문화 교육에 대하여 국가적인 수준에서 관심을 보이는 한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추구하고자 하는 다문화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 설명 없이, 다문화 교육에 대한 공유된 개념이 이미 존재하고 있다는 전제하에서 다문화 교육이라는 용어를 활용하고 있다. 다문화 교육은 근자에 들어 우리사회 여러 부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것이 대략 무슨 의미 인지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에 대해서는 개념상의 혼선이 있어 보인다.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물에서 소개되는 접근법들도 전체적인 맥락에서 분리된 상태로 간략하게 다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학자의 구분되는 접근법을 매우 유사한 접근법으로 치부하는 경향도 있다. 이러한 동향은 다문화 교육에 관심을 갖고 이를 실천하고자하는 교사와 현장 전문가에게 다문화 교육 논의에 대한 종합적인 관점을 제공해 주지 못하므로, 그들이 다문화 교육을 계획하고 실천하고자 할 때 많은 혼란과 제약을 초래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 접근법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물들을 수합·분석하여 5가지로 유형화하여 분류함으로써, 각 접근의 상호연관성을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사회에서 개념화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이란 무엇인가를 밝히고, 그러한 개념 하에서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실행양상과 그 가능성과 한계를 미리 전망해 보게 해주며, 나아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growing areas of interest in Korean Society, seeking different agendas and new directions facing with global and social changes. This study arises from the lack of theocratical frame works and the growing confusion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practices. This is problematic because it leaves many educators and teachers in the place of uncertainty about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similar and dissimilar approaches only serves to confuse the reader and distort meaning of suggested approaches by the orignal author.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develop a typ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ame works that can make sense of variations among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such as conservativ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pluralist multiculturalism, left-essentialist multiculturalism, and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lso offers a synthesis of various approaches, curriculum transformat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und in the related literature.


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growing areas of interest in Korean Society, seeking different agendas and new directions facing with global and social changes. This study arises from the lack of theocratical frame works and the growing confusion concerned with multicultural practices. This is problematic because it leaves many educators and teachers in the place of uncertainty about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other words, the presence of similar and dissimilar approaches only serves to confuse the reader and distort meaning of suggested approaches by the orignal author. By review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develop a typ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ame works that can make sense of variations among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regard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s such as conservative multiculturalism, liberal multiculturalism, pluralist multiculturalism, left-essentialist multiculturalism, and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s study also offers a synthesis of various approaches, curriculum transformati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found in the related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