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개인 특성을 고려한 집단 특성에 따라 토론학습에 대한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사회과 토론학습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집단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학습자의 성격 유형을 핵심 개인 특성 요인의 하나로서, 정치적 효능감을 토론학습의 주요 효과로서 증진되어야 할 요인으로 상정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인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내/외향성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라 구성된 집단 특성별로 정치적 효능감 신장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탐구하였다.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른 집단 특성에 따라 동질적 집단에 속한 ‘내향성 학습자 집단(IHm)’, ‘이질적 집단에 속한 내향성 학습자 집단(IHt)’, ‘동질적 집단에 속한 외향성 학습자 집단(EHm)’, 그리고 ‘이질적 집단에 속한 외향성 학습자 집단(EHt)’으로 범주화하여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공공쟁점 중심 사회과 교실 토론 프로그램을 6주간 실행하여 정치적 효능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일원공변량분석(one-way ANCOVA)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쟁점 토론학습 참여는 유의미한 정치적 효능감 증진 효과를 나타나게 하지만, 학습자의 성격 유형에 따라 토론학습 참여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는 없었다. 둘째, 공공쟁점 토론학습 참여는 학습자 성격 유형에 따른 집단 특성별로 서로 다른 정치적 효능감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이질적 집단에 속한 내향성 학습자(IHt)’는 ‘동질적 집단에 속한 외향성 학습자 집단(EHm)’뿐만 아니라, ‘이질적 집단에 속한 외향형 학습자(EHt)’나 동질적 집단에 속한 내향성 학습자(IHm)’보다 정치적 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위의 분석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성격 유형이 동일한 학습자라 하더라도 집단 과정의 특성에 따라, 집단 특성이 동일하더라도 개인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 토론학습의 성공적인 실현을 위해서는 학습자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집단 과정의 특성도 고려하여야 한다.


With comparing the effect of classroom discussion trait of group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this research suggest to be worth consideration of group process for successful classroom discussion. The distinctive feature of person is considered as personality type, introvert or extrovert, and the core effect of discussion is considered as sense of political efficacy. The key question is that comparison with the effect of sense of political efficacy depended on the trait of group consisted of introvert/extrovert. The experiment group is classified into 'Introvert in Homogeneous group(IHm)', 'Introvert in Heterogeneous group(IHt)',' Extrovert in Homogeneous group(EHm)' and 'Extrovert in Heterogeneous group(EHt). Public issues-centered classroom discussion has been done for 6 weeks. The deta of pre-test and post-test is analyzed with one-way ANCOVA. There are two conclusions to be drawn. First, Though the discussion program effect on positive sense of political efficacy, the personality type, introvert/extrovert, do not different effect on positive sense of political efficacy in participating classroom discussion. Second, the trait of group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effect on positive sense of political efficacy in participating classroom discussion.'Introvert in Heterogeneous group(IHt)' has more effect than 'Introvert in Homogeneous group(IHm)','Extrovert in Homogeneous group(EHm)'and 'Extrovert in Heterogeneous group(EHt). In conclusion, the same personality type do not same effect of sense of political efficacy in different group process. It do not same effect of sense of political efficacy that the different personality type in same participation of group. It should be suggested to be worth due consideration of group process for successful classroom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