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culturally relevant pedagogy)’에 대한 개념적 혼란이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되었다(그 의미를 다소 단순화하고 협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강함).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다문화 교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의 연구맥락에서는, 다문화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교사의 능력을 ’문화적 역량(또는 다문화적 역량/능력, 문화적 민감성, 문화적 감각, 다문화적 교수능력 등)에 중점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물은 ‘문화적 역량’을 사회·정치적 의식과 연결시켜 다루어 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경향에 대하여 본 연구는, 먼저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왜 그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가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실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향에 대한 한 대안으로 Ladson-Billings의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수법’ 개념을 분석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여, 현 다문화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e idea of culturally competence or culturally appropriate teaching has received a great interest from many studies o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s an effective tool to work with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Although they are presented with similar terms(such as culturally appropriate, culturally congruent, culturally responsive), studies used these terms as a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d varying definitions of the term. Most of studies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Ladson-Billings’ CRP in a manner that focused mainly on narrow definition of culture. Currently, many teacher eduction programs are based on liberal multiculturalism that tends to preclude analysis on power relations and social privilege. By reviewing and analyzing CRP related literature,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needs to incorporate critical multicultural practices so that teachers will develop socipolitical consciousness of their own that will guide them toward critical practice of C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