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90년대 후반 북한에서는 심각한 경제난에 의해 식량위기 상황이 발생하였다. 기존의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던 중앙배급제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북한 주민들은 생존을 위해 스스로 식량을 구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에 있는 친지방문이나 밀거래를 위해 국경을 넘는 일이 잦아졌고 북한 내부에서 지역간 이동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주목할 점은 중국을 오가는 사람들과 북한 내부 시장을 통해 외부정보와 문화가 유입·확산되었다는 점이다. 남한 드라마나 영화 등의 영상매체가 유입되었고, 이를 통해 남한(아랫동네)에 대한 정보가 북한 주민들 사이에 전파되었다. 본 연구는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구조를 살펴보고, 외부정보 유입이 기능적 측면에서 북한주민들의 의식과 향후 북한체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남한 영상물이 북한지역에 유입·확산되는 시간과 공간의 구분에 의해 ‘지역간·대인간’ 유통구조로 나누어 살펴본다. 그리고 북한체제라는 하나의 구조적 틀 안에서 이를 구성하는 행위자들의 의식과 행위 변화가 북한 체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전망한다.


North Korea started to suffer from a serious food crisis driven by dismal economic conditions in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Once the central rationing system, which used to uphold the socialist regime, started to crack, North Koreans were forced to go find their own food for survival. In the search process, they crossed the North Korean border adjacent to China to visit their relatives living in China or for smuggling. In addition, they moved within North Korea from region to region more actively. What is noteworthy with all those changes is the import and spread of outside information and culture through those who visited China and the internal market of North Korea. South Korean visual media such as dramas and movies were introduced into North Korea and spread information about South Korea (lower Korea) among the North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ose visual media in North Korea and the influence of outside information imported on the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s and changes to the North Korean regime. For that purpose, the “inter-regional and inter-personal” distribution structure was consulted to examine the South Korean visual media in the time and space of their import and spread. The study also estimated how changes to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North Korean regime would affect changes to the regime within its one structural frame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