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인지(고정관념), 정서(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감정), 행동(사회적 거리감)으로 구분하고, 심리적 변인(수용성, 권위주의, 사회정체성, 통일인식)이 북한이탈주민의 편견에 주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군인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 다. 연구결과 첫째, 직업군인의 수용성과 통일인식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지적 편견인 고정관념, 정서적 편견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감정 그리고 행동적 편견인 사회적 거리감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또한 직업군인의 사회정체성은 북한이 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 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감정에는 부정적 영향을, 사회적 거리감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 다. 둘째, 직업군인의 권위주의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간의 관계에서 수용성은 고정관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감정 그리고 사회적 거리감에서 모두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sychological variables, namely receptivity, authoritarianism, social identity, and perception toward unification, on stereotypical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which are categorized into cognitive(stereotypes), emotional(feelings toward North Korean refugees), and behavioral(social distance) aspects. For this purpose, 243 soldiers were asked to complete the surve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ceptivity and perception toward unification showed influence on soldiers’ cognitive stereotypical attitudes, affected emotional and behavioral stereotypical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 refugee. Social identity showed negative effects on emotional stereotypical attitudes and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stereotypical attitudes(social distance). Second, receptivity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ism and cognitive/emotional stereotypes and social distance. Last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i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