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들에게 한자 학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ㅓ’‘ㅕ’를 가지는 한국한자음과 그에 대응하는 일본한자음과의 대응관계를 대조비교를 통하여 규명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한국한자음 ‘ㅓ’와 ‘ㅕ’에는 일본한자음에서 ‘yo’, ‘ei’가 주로 대응하는데 각 유형별로 출현율에 차이가 있다. CV형‘ㅓ’에서는 ‘yo’, ‘ei’로 각각 54.3%와 22.9%로 나타나는데 이 출현비율은 終聲(末子音)이 없는 CV형‘ㅕ’의 경우에도 큰 차이가 없어 ‘yo’가 63%, ‘e’가 27.3%로 각각 나타나고 있다. CVC형‘ㅓ’의 경우에는 CVp형‘ㅓ’를 제외하고는 압도적으로 ‘e’의 출현율이 ‘yo’의 출현율을 앞서고 있다. 특히 CVn형‘ㅓ’, CVl형‘ㅓ’, CVm형‘ㅓ’에서는 ‘e’로만 나타난다. CVC형‘ㅕ’의 경우에는 CVp형‘ㅕ’에서는 ‘yo’로만 나타나고, 반대로 CVk형‘ㅕ’, CVn형‘ㅕ’, CVl형‘ㅕ’, CVm형‘ㅕ’에서는 ‘e’로만 나타나며, CVng형‘ㅕ’에서는 ‘e’가 압도적으로 나타난다. CVp형‘ㅓ’와 CVp형‘ㅕ’에서만 ‘yo’의 출현율이 ‘e’의 출현율을 압도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일본어의 음운변화(ハ行轉呼와 長音化)에 의하여 ‘e’가 ‘yo’로 변신하여 ‘yo’에 합류하였기 때문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corresponding to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ㅓ(eo)’and ‘ㅕ(yeo)' as the preliminary stages for Korean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to learn Chinese characters easily. Generally, Korean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eo’and ‘yeo' correspond to Japanese speech sounds of Chinese characters ‘yo’ and ‘ei’, but it is different case by case. The ‘eo’ of the CV type shows ‘yo’ at 54.3% and ‘ei’ at 22.9%. In the case of the CV type without a final consonant, there is no difference, that is, ‘yo’ at 63% and ‘ei’ at 27.3%. In the case of the ‘eo’ of the CVC type, ‘eo’ shows more overwhelmingly than ‘yo’ except for the ‘eo’ of the CVp typ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CVn, CVI and CVm type, ‘eo’ shows up only as the 'e'. In the case of the CVC type, 'yeo‘ shows up only ‘yo’ in the CVp type and on the contrary, only 'e' in the CVk, CVn, CVI and CVm and CVm type, and shows up 'e' more overwhelmingly in the CVng type. In conclusion, the phonetic change of the Japanese language makes the differences mentioned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