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독락(獨樂)’이라는 말을 사용한 중국의 사마광을 비롯하여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사마광과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의 ‘독락’에는 표면적으로는 자연을 벗삼아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홀로 즐기며 자득하고자 했던 모습이 표현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여민락’의 세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과 인을 바탕으로 한 ‘여민락’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왕도정치의 실현을 촉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마광은「독락원기」에, 이언적은 한시 ‘독락’과 당호(堂號)를 ‘독락당’으로, 권호문은 불편한 심사를 자신과 결부시켜 노래하면서「독락팔곡」이라고 하였다. 박인로는 이언적 사후에 ‘독락당’을 찾아가 그가 ‘당시 ᄒᆞ시던 닐’을 ‘다시곰 思想ᄒᆞ’며 그를 추숭하는 형식으로 가사「독락당」을 지어 노래하였는데 이는 선가자로서보다는 유자로서의 신념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 이처럼 그들에게 사용되었던 ‘독락’이라는 말은 조선조 다른 유자들의 작품과 기록을 통해서도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dokrak(獨樂)’ through the records and literary 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Lee Eon-jeok, Kwon Ho-mun and Park In-ro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Sima Guang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fter retiring from politics, Sima Guang built the ‘Garden of Solitary Enjoyment(Dule yuan 獨樂園)’ and wrote an essay devoted to this garden(「Dule yuan ji 獨樂園記」) to cultivate his mind and pursue solitary enjoyment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his poem also reveals his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meaning enjoyment with the people, and criticism of the reality. Lee Eon-jeok, a scholar of Joseon Dynasty, renovated his father’s pavilion and named it ‘Dokrak-dang(獨樂堂).’ Kwon Ho-mun wrote 「Dokrakpalgok(獨樂八曲)」 to describe his state of mind. Park In-ro visited ‘Dokrak-dang’ after the death of Lee Eon-jeok and honored him with a gasa(traditional Korean verse), 「Dokrakdang」 by “thinking about what he had done there during his lifetime.” His work embodies his beliefs as a Confucian scholar, rather than as a writer. The word, ‘dokrak(獨樂),’ which was used by the scholars described above, seems to describe the pursuit of solitary enjoyment by devoting themselves to learning and cultivating mind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it also embodies their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based on criticism of th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