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에게 실시되고 있는 직업적응훈련서비스와 서비스 유형이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용자의 주도성이 강조되는 새로운 서비스패러다임에서 우리나라 지역정신보건서비스가 지향해야 할 기준과 효과적인 직업재활서비스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만 20세 이상 60세 미만의 성인 정신장애인 142명으로, 사회복귀시설에서 훈련을 받은 후, 최근 2년 간 취업경험이 있거나, 현재 취업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훈련성취도가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개인훈련성취도의 하위차원 중 사회기술과 협동심의 영역이 직업유지기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유형이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비클럽하우스모델보다 클럽하우스모델이 직업유지기간에 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개인훈련성취도의 직업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개인훈련성취도의 하위차원 중 작업습관 영역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and the type of service for job retention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to suggest effective and customer-driven service model for job maintenance. The sample size was 142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had employment experience for the last 2 years or are working presently after completion of the vocational training from the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from 21st Nov, 2005 to 10th Dec, 2005. The major findings from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personal presentation and cooperativeness subscale in the accomplishment level have positive effects on duration of job retention. It means that cultivating better social skills is much more important than individual's ability for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to retain the job. Second, the clubhouse model has more positive effects than non-clubhouse model on the duration of job maintenance when comparing the type of service. Lastly, the clubhouse model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duration of job reten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work habits subscale in the accomplishment level. This suggest that customer driven and voluntary based vocational services are more effective for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