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고 그리고 각요인들 간의 영향력 및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7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 변인들이 미치는 영향력 및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경로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장애인 가구원의 자산수준은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취업여부 또한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각각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산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아존중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며, 마찬가지로 취업여부와 삶의만족도 사이에서도 자아존중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재무설계 및 경제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그리고 장애인의 근로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미취업 상태의 장애인 가구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증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충이 요구된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산수준과자아존중감의 특성을 반영한 저축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며, 더불어 근로활동 및 자아존중감의 긍정적인 측면을 활용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paths among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y using path analysis and the 7th wave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AED). While key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assets and employment status, self-esteem is a mediat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sets and employment status of persons with disability are found to have direct effect 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we found not full bu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assets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between employment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The key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asset-building programs and financial literacy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In addition, the findings support employment enhancement programs for persons with disability. Considering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ssets, employment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we also think about programs influencing mental health of persons with disability including self-esteem. More attentions should be paid to asset-building, employment, and self-esteem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