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이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는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이러한 선택이 장애정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PSED, 1∼5차년도(2008년∼2012년))에 참여한 여성장애인 1,517명의 원자료를 활용하여 패널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증여성장애인의 경우, 연령이 높고, 배우자가 없으며 감각, 정신적, 신체내부 장애를 가지고, 장애기간이 길수록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증여성장애인의 경우에는 취업가족비율이 낮고 만 7세 이하 자녀가 없으며, 장애유형이 신체외부장애인이고 만성질병이 있는 여성장애인일 경우에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장애인의 경우 장애정도에 따라 시간제 일자리 참여 결정요인이 두 집단 간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중증과 경증 여성장애인으로 차별화하여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what determinant factors influence disabled women to choose part-time jobs and how the severity of their disabilities affects their decisions. We performed a panel logistics analysis of raw data from 1,517 disabled women who participated in five series of Panel Surveys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from 2008 to 2012.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women with severe disabilities have a high tendency to choose a part-time job under the following circumstances: old age, no spouse, long period of disabling conditions and disabilities in sensory organs, brain, or internal organs. Meanwhile, women with minor disabilities have a high tendency to choose a part-time job under the following circumstances: low family employment rate, no children under seven years of age, chronic health conditions, and disabilities in external body parts. To conclude, determinant factors for disabled women participating in part-time jobs differed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 degree of disability.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provided differentiated strategies by the severity of disabilities to promote part-time employment of disabl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