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범위 논란과 관련하여 두 가지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다. 첫째는 과연 제조업 내 중소제조업의 비중이 제조업 전체의 고용증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보다 세부 기업규모별로 살펴볼 때 제조업 내 어떤 규모의 기업군이 제조업 전체의 고용증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중소기업 비중과 고용증가율 간의 관계를 추정해본 실증분석 결과, 사업체수 기준이든 종사자수 기준이든 관계없이 중소기업의 비중이 고용증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규모별 비중의 고용증가율에 대한 효과를 살펴볼 때, 사업체수 기준이든 종사자수 기준이든 관계없이 1-4명, 5-9명, 10-19명 기업군의 비중이 고용증가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focuses and analyzes on two specific issues associated with the SME scope. One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ME(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share in manufacturing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growth of manufacturing industry. And anther is to find the specific firm scales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growth in overall manufacturing.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1993-2011, a SME share in manufacturing industr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growth in manufacturing industry. It implies that a SME policy based on a current standard regarding to the SME scope has had a rather nega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growth. Also, the share of relatively small fir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growth of manufacturing industry. It implies that the efficiency of SME policy will be improved when it focuses on small business rather than mid-sized busi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