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응용학문으로서 행정학의 정체성은 변화하는 사회에 필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행정학이 사회적 변화에 얼마나 적실성 있는 대응을 하였는가를 사회적 수요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행정학의 사회적 수요 분류를 위하여, 관련문헌과 전문가 설문을 분석하여 33개의 행정학 관련 사회적 수요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행정학 공공연구기관의 연구보고서와 주요 대학원 행정학과의 교과목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사회적 수요에 대한 대응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공공연구기관은 사회적 수요 변화의 패턴에 맞추어 유연하게 대처하여 왔으나, 사회적 수요의 단기적 예측 측면에서는 역량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공연구기관은 사회적 수요보다는 정부의 수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원의 교과목은 아직 전통적 행정학에 편중되어 있기에, 적극적으로 새로운 영역설정이 필요하며, 행정학 연구의 초점이 사회적 수요에 대응하는 교과내용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Currently, environments surrounding Public Administration are rapidly changing. In order to cope with these changes, Public Administration should continuously respond to demands required from the society. This study explored how Public Administration responds to the social demands in the current era. The targets for analysis were reports from the public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Before going further, this study categorized various types of social demands in Public Administration from 33 sources(15 surveys from professors in PA and 18 literatures). On the basis of categorized social demands, this study classified reports from the public institute and curriculum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are; 1) while the public institute follows social demands after their emergence, the private sector institutes seem to have capacity to predict the upcoming (i.e., short-term) social demands. Another feature is that the public institute focuses more on demands from government rather than social demands. 2) Still, relatively large portion of graduate school curriculum in Korea is occupied by traditional courses such as organization theory, personnel administration, or financial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