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사고와 원자력에 대해 위험판단과 이를 결정하는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기존 위험지각 설명에서 상호 독립적으로 응용되었던 위험지각패러다임(Risk-Perception Paradigm)과 위험소통모형(Risk Communication Model)을 통합하여 이들이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변수만으로는 위험지각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위험지각패러다임과위험소통모형에 속한 변수들에 의해서 위험지각이 더 많이 설명되었다. 특히 이들 양자는 상대 요소를통제한 상태에서 각자 추가적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위험지각패러다임에서는 지각된 위험,낙인, 신뢰가, 위험소통모형에서는 부정적 정보량, 수신자의 관여, 수신자의 능력이 위험지각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중 신뢰, 수신자의 관여와 능력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Our study will analyze the determinants of risk judgement, in particular, risk perception, aboutFukushima nuclear power accidents, 2011 and general nuclear power. To explain the riskperception, we integrated the risk perception paradigm and risk communication model, whichhave been studied separatedly. The results shows first, the demographic variables did not well explain the variance of riskperception whereas variables from risk perception paradigm and risk communication model,contribute to explaining the degree of risk. Moreover, two independent factors maintain theexplanation power after controlling each other. Second, perceived r isk, stigma, and trust inrisk perception paradigm, quantity of negative information, perceiver’s involvement and abilityin risk communication model significantly explain the risk perception. Finally, variables withintwo factors show conditional relationships in which one’s effect on risk perception dependson other.